6·25 전사자 김문권 하사 유해, 72년 만에 가족 품으로

정충신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고 김문권 하사의 유가족 대표인 친조카 김대중(54·왼쪽)씨에게 호국의 얼 함을 전달하고 있는 조해학(육군 중령)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장 직무대리.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 제공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국유단)은 지난해 11월 강원도 철원군 원남면 주파리 일대에서 발굴한 유해의 신원을 국군 제7사단 소속 김문권 하사(현 계급 상병)로 확인했다고 21일 밝혔다.

고인은 6·25전쟁 마지막 해인 1953년 3월 입대 후 국군 제7사단에 배치돼 같은 해 7월 ‘적근산·삼현지구 전투’에 참전했다가 전사했다.

적근산·삼현지구 전투는 국군 제7·11사단이 강원도 철원군 원남면 주파리 일대에서 중공군 4개 사단의 공격을 격퇴하고 반격으로 전환해 전선을 안정시킨 공방전이다. 전투 당시 혁혁한 전공을 세운 고인에게 1954년 화랑무공훈장이 추서됐다.

입대 당시 고인의 부인은 아들을 임신 중이었다. 지금은 부인과 아들도 세상을 떠났고, 며느리와 손자가 72년 만에 돌아온 고인의 유해를 모시게 됐다.

며느리 방금임(71) 씨는 “시어머니께서 그렇게 생전에 유해를 찾아 국립묘지에 같이 묻히고 싶어 하셨는데, 이제 같이 합장해 드릴 수 있어서 기쁘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