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법무부, ‘트럼프 정적’ 볼턴 전 국가안보보좌관 기소

박준우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트럼프 1기 당시의 국가기밀 유출 혐의
트럼프 2기 취임 후 ‘정적’ 3번째 기소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지난 2019년 9월30일 워싱턴DC 국제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서 연설하고 있다. AP 뉴시스


미국 법무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표적인 ‘정적’ 으로 꼽히는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을 결국 기소했다.

16일(현지시간) CNN방송은 미국 법무부가 대배심에 볼턴 전 보좌관을 국방 관련 정보 유출 및 보유 혐의로 기소했다고 보도했다.

기소장에 따르면 볼턴은 2018년 4월부터 2019년 9월까지 트럼프 대통령의 국가안보보좌관을 지내면서 수행한 업무를 상세히 기록한 “일기장 같은” 자료 수백장을 기밀 취급 인가가 없는 두 명의 친척과 공유했다.

그가 자료를 친척에게 보낼 때 사용한 개인 이메일 계정은 이후 해킹됐는데 미국 당국은 해커가 이란 정부와 연계된 것으로 판단했다.

검찰은 또 볼턴이 많은 기밀 자료를 출력해 허가 없이 메릴랜드주 자택에 보관했다고 주장했다.

사법 당국은 지난 8월 볼턴의 자택과 사무실을 압수수색해 컴퓨터와 전화기, 다량의 문건을 확보한 바 있다.

강경 매파 성향인 볼턴 전 보좌관은 1기 트럼프 행정부 시기인 지난 2018년 4월부터 이듬해 9월까지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을 지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과 북한·이란 등 외교·안보 정책을 놓고 이견을 보이다 해임됐고 이후 대표적인 반트럼프 인사로 변신했다.

그는 지난 2020년 출간한 회고록 ‘그 일이 일어난 방’에 기밀 정보를 포함했다는 의혹을 받아 왔다. 회고록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 노골적으로 자신의 대선 승리를 도와달라고 요청했고 영국이 핵보유국인 줄 몰랐다는 등 1기 트럼프 행정부의 난맥상을 드러내는 내용이 포함돼 미국 안팎에서 큰 파장이 일었다.

이에 당시 미국 법무부는 볼턴에 대한 수사에 나섰으나 조 바이든 행정부가 출범 이후 기소를 하진 않았다.

볼턴 전 보좌관의 변호인은 그가 불법 행위를 저지르지 않았다고 밝힌 바 있다.

볼턴 전 보좌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정적’으로 꼽히는 고위 관료 출신이 기소되는 세 번째 사례다. 2기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법무부는 제임스 코미 전 FBI 국장, 레티샤 제임스 뉴욕주 법무장관 겸 검찰총장을 기소했다.

볼턴은 주요 외교 정책을 두고 트럼프 대통령과 충돌하다 안보보좌관에서 경질됐으며 이후 언론 인터뷰 등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가차없이 비판해왔다.

이번 기소는 트럼프 대통령의 재집권 이후 그의 정적들이 연이어 기소돼 보복 논란이 제기되는 가운데 이뤄져 주목받고 있지만, 볼턴에 대한 수사는 전임 바이든 행정부에서 동력을 확보했다고 뉴욕타임스(NYT)는 전했다.

워싱턴포스트(WP)도 볼턴 기소는 트럼프 대통령이 손수 고른 검사가 아니라 경험이 많고 존경받는 검사 켈리 헤이스가 서명했다고 보도했다.

다만 법무부의 고위 관료들이 메릴랜드 검찰청에 볼턴 기소를 서두르라고 압박했으며, 볼턴 수사에 관여하는 법무부내 국가안보 관련 부서를 이끄는 존 아이젠버그가 전날 백악관에 있었다고 소식통들은 WP에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행사에서 볼턴 기소에 대해 질문받자 “난 몰랐다”면서 “그는 나쁜 사람이다”라고 거듭 말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세계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