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23일 국회 교육위원회 김문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N수생 사교육비 조사 모델 개발 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 대상 N수생 중 가장 많은 비율이 소득이 상대적으로 높은 가정에 속해있었다. 해당 보고서는 N수생의 사교육비 조사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지난해 17개 일반대에 입학한 N수생 1753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내용을 담았다.
N수생 중 ‘가정의 월평균 소득이 800만 원 이상’이라고 답한 학생 비율은 23.4%로 가장 많았다. ‘800만 원 이상’은 조사 대상 소득 중 가장 높은 구간이다. ‘500만~600만 원’은 8.6%, ‘300~400만 원’ 7.6%, ‘400만~500만 원’ 7.1% 순이었다.
N수생의 사교육 비용은 ‘보호자가 90% 이상을 부담했다’는 응답이 74.6%로 가장 많았다. ‘본인이 부담했다’는 응답 중 ‘10% 미만으로 부담했다’는 의견이 78.5%였다. 이는 보호자의 경제력이 N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의미다.
N수 결과 ‘희망 대학에 입학하지 못했다’는 응답은 68.1%에 달했다. ‘희망 전공에 입학하지 못해다’는 응답은 47.9%였다. 응답 당시 ‘이듬해 N수를 또 다시 준비 중’이라는 답변은 23.4%였다. 준비중인 전형은 수시모집 21.8%, 정시모집 68.8%인 것으로 조사됐다. ‘다시 N수를 준비 중’이라는 응답자의 소속 계열은 자연계열 29.4%, 예체능계열 25.4%, 공학계열 25.3% 순이었다. 의약학계열은 12.3%로 가장 낮았다.
이는 의대 등에 진학하면 N수를 재시도할 가능성이 낮고 자연계열이나 공학계열은 N수를 통해 다른 대학으로의 이탈을 많이 준비하는 세태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의대 신입생 중 N수생 비율은 49.11%, 약대는 54.35%였다.
N수생이 가장 많이 받은 사교육은 ‘인터넷 강의(EBS 제외)’가 70.5%였다. 종합반 학원(35.6%)과 단과학원(34.1%) 등이 뒤를 이었다. 김 의원은 “N수생 증가세가 두드러지고 있는데 사교육 등 실태 파악이 안되는 만큼 꾸준히 관련 현황을 조사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