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절실한 서울 15만 채 공급, 겹규제로 묶어둘 여유 없다
이는 공사비 급등이 계속되는 가운데 인허가 지연, 강화된 안전진단,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재초환), 복잡한 기부채납, 분양가 상한제 등 각종 규제가 발목을 잡고 있기 때문이다. 사업이 지연되고 있는 하위 25% 구역을 보면 첫 단추인 안전진단을 마무리하고 추진위원회를 꾸리는 데만 평균 8년 7개월이 걸렸다고 한다. 재건축으로 얻은 이익의 최대 50%를 정부가 환수하는 재초환 역시 사업 추진 의욕을 꺾고 있다. 서울 재건축 단지의 초과이익 부담금은 가구당 평균 1억4700만 원을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 공원·도로·학교·주민편의시설 같은 공공기여 부담도 걸림돌이다.
여기에다 10·15 부동산 대책으로 서울 전역과 경기 주요 지역이 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이면서 재건축·재개발 사업은 더 위축될 가능성이 커졌다. 이들 지역의 재건축·재개발 단지는 조합원 전매 제한과 재당첨 제한, 주택 공급 수 제한, 대출 규제 등을 동시에 적용받는다. 기존 겹규제에 더해 이번 대책까지 추가 족쇄로 작용할 경우 재건축·재개발 사업이 사실상 멈춰 설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온다.
고강도 수요 억제책을 담은 10·15 대책의 후폭풍이 이어지자 여당은 주택시장 안정화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주택 공급 확대에 집중하겠다고 한다. 공급 부족과 이에 대한 불안 심리를 잠재우려면 재건축·재개발 규제 완화 같은 공급 확대를 위한 실효성 있고 과감한 접근이 필요하다. 수요자들이 원하는 도심에 신규 아파트를 공급할 수 있는 사실상 유일한 통로인 재건축·재개발 사업이 늦어질수록 집값 안정은 힘들어진다.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오피니언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동아일보 주요뉴스해당 언론사에서 선정하며 언론사(아웃링크)로 이동합니다.
-
QR을 촬영해보세요. ‘대한민국 대표 종합일간지’ 동아일보 지면 구독
-
QR을 촬영해보세요. 싱크홀의 전조, 땅은 이미 경고를 보냈다[히어로콘텐츠]
3
동아일보 헤드라인
더보기
동아일보 랭킹 뉴스
정오~오후 1시까지 집계한 결과입니다.
더보기
함께 볼만한 뉴스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