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아연, 中수출규제 ‘갈륨’ 회수공정 신설

이원주 기자 TALK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2028년부터 年15.5t 생산”중국이 생산망을 틀어쥔 채 수출 규제에 나선 희토류 ‘갈륨’을 고려아연이 국내에서 자체 생산한다.

고려아연은 이달부터 2027년 12월까지 총 557억 원을 투자해 울산 온산 제련소에 갈륨 회수 공정을 신설한다고 19일 밝혔다.

고려아연은 연구소와 핵심 기술진을 투입해 반도체 제작 등에 쓰이는 갈륨 회수 기술을 상용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이 시설이 2028년 중 상업 가동에 들어가면 연간 15.5t 규모의 갈륨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회사 측은 예상했다. 현재 시세인 kg당 920달러(약 131만 원)를 적용하면 약 110억 원의 이익을 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에너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갈륨은 중국이 전 세계 공급량의 98.7%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2023년 7월부터 중국은 갈륨에 대한 수출을 통제하고 있고 지난해 말부터는 미국에 수출을 전격 금지했다.

갈륨 생산공정이 본격 가동되면 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처리해 또 다른 전략광물인 인듐도 연간 16t을 추가로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고려아연은 연간 150t 규모로 인듐을 생산해 중국을 제외하고 생산량이 가장 많은 인듐 제련기업으로 분류된다. 회사 측은 “전략광물 생산 허브로서 국가의 자원 안보와 공급망 안정을 위해 투자와 기술 향상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