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은 15일 ‘세계 손씻기의 날’을 맞아 국립중앙의료원과 공동으로 실시한 ‘2025 감염병 예방행태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6월 10일부터 7월 10일까지 한 달간, 공중화장실을 이용한 19세 이상 성인 4893명을 대상으로 관찰 조사 방식으로 이뤄졌다.
● “비누 쓰는 사람 절반도 안 돼”…평균 손씻기 시간 12초
조사 결과, 용변 후 손을 씻는 비율은 84.1%로 집계됐다. 반면 15.9%는 손을 전혀 씻지 않았다.
특히 남성(21.4%)은 여성(10.6%)보다 손을 씻지 않는 비율이 약 2배 높았다.
손을 씻은 사람 중에서도 비누를 사용하는 비율은 45%, 물로만 씻은 경우가 39.1%로 나타났다.
비누거품으로 손을 비비는 시간은 평균 4.8초, 전체 손씻기 시간은 12.2초에 그쳤다.
비누로 30초 이상 꼼꼼히 씻는 ‘올바른 손씻기’ 실천율은 10.3%에 불과했다.
● 나이 들수록 손 안 씻는 비율↑…70대 30% 달해
연령대별로는 50대 이상에서 손씻기 실천율이 낮았다. 70대는 30%, 60대 23.8%, 50대 17.2%로 나타나, 40대(10.3%)·30대(9.6%)·20대(10.3%)보다 현저히 높았다. 또 대도시(특별시·광역시)의 비실천율은 17%로, 중소도시(15%)보다 다소 높았다.
질병청은 “손씻기 실천율은 매년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로 손씻기에 대한 인식은 높아지고 있으나 ‘올바른 손씻기’ 실천율은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며 “대국민 홍보 등을 통한 인식 및 실천율 제고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질병청은 서울시와 협력해 한강시민공원 공중화장실 138개소에 손씻기 메시지를 부착했으며, 11월 초까지 전국 10개 지역에서 축제현장을 통한 체험방식의 홍보행사를 운영하고 있다.
임승관 질병청장은 “감염병 예방수칙은 비용이 들지 않는 가장 기초적이고 효과적인 예방 수단”이라며 “특히 손을 씻을 때 손끝, 손가락 사이, 손톱 밑 등을 꼼꼼히 닦는 ‘올바른 손씻기 6단계’를 실천 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