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의금 8만원 내고 4인가족 식사…무례로 느끼면 야박한가?[e글e글]

김승현 기자
입력
수정 2025.05.13. 오전 11:21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결혼식에 참석한 옛 직장 동료가 축의금 8만 원을 내고 남편과 어린 자녀 2명을 데려와 식사까지 하고 갔다는 사연이 온라인에서 논란이다.

지난 11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8만 원 내고 4인 식구 결혼식 뷔페 먹고 갔네요’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글쓴이 A 씨는 “아무리 생각해도 황당해서 적는다”며 “저번 주에 결혼식을 막 올린 상태”라고 말문을 열었다.

A 씨는 “제가 있는 회사가 여러 지소를 옮겨 다니는데, 작년까지 같은 사무실에서 근무했던 직원들에게는 모바일 청첩장을 보내고 시간 되면 와달라는 전화를 한 통씩 드렸다”고 설명했다.

결혼식 이후 축의금과 하객 명단을 정리하던 A 씨는 이상한 점을 발견했다. 작년까지 같은 사무실에서 근무했던 30대 중반 여직원이 축의금 8만 원만 내고, 남편과 어린 자녀 2명을 데리고 와 식사를 하고 간 것이었다.

A 씨는 “이런 말 하면 치사스러운 거 알지만, 호텔 예식이라 식대가 8만 9000 원이다”라며 “축하해 주러 온 사람한테 대접한 거라고 생각해도, 10만 원을 내든지 8만 원은 뭐냐”며 어이없어했다.

그러면서 A 씨는 “저는 그분 두 아이 돌잔치 한다고 들었을 때도 5만 원씩 보냈다”며 “남편 말로는 아이들이 어리니 대충 1인당 2만 원씩 계산해서 8만 원 내고 먹은 것 같다고 하더라”고 토로했다.

이어 “제 옆자리 동료가 전해주기를, 그 직원이 ‘A 씨 결혼했으니까 각 지소에 떡이나 과일 돌리려나?’라고 말했다더라”라며 “거지도 아니고 참. 여러분은 8만 원의 의미가 도대체 뭐라고 생각하냐”고 물었다.

이 사연을 두고 누리꾼들은 갑론을박을 벌였다.

일부 누리꾼들은 “제 결혼식에도 10만 원으로 5인 먹고 갔다”, “애들이 36개월 이전이면 무료인 뷔페 많아서 2인 요금으로 계산한 것 같다. 돌잔치 때 돈도 받아놓고 왜 저러냐”며 A 씨에게 공감했다.

반면 일각에서는 “작년까지 근무했던 직원들한테까지 연락했어야 했냐”, “결혼이 장사도 아니고 그냥 내 잔치에 사람 많이 왔으니 좋았다는 마음으로 좀 넘겨라”, “시간 되시면 와주시면 감사하겠다더니 거짓말이었네”등의 반응도 나왔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