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한 줄도 몰랐는데 2억 있었네”…주인 찾은 주식 433억

김경은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예탁원, '미수령주식 찾아주기 캠페인' 마쳐
주주 2135명에 433억 찾아줘…“재산권 보호”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경기도에 사는 40대 A씨는 오래전 투자했던 비상장 주식의 존재를 잊고 지냈다. 최근 캠페인 안내문을 보고 한국예탁결제원에 방문한 그는 해당 기업이 1년 전 상장된 사실을 확인하고 2억원 상당의 주식과 700만원의 배당금을 찾아갔다. A씨는 “주소가 바뀌어 캠페인이 아니었다면 절대 찾을 수 없었을 것”이라며 “아이 학자금에 보탤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서울에 거주하는 60대 B씨는 1980년대 M전자 근무 시절 우리사주를 받았으나 실명번호 한 자리 오류로 이를 확인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예탁결제원에 방문한 그는 약 3500만원 상당의 주식과 배당금을 수령했다. B씨는 “젊은 시절 땀 흘려 일하던 회사의 주식을 다시 받으니 마치 내 청춘을 돌려받은 기분”이라며 눈시울을 붉혔다.

(사진=한국예탁결제원)
예탁결제원은 ‘2025년 미수령 주식 찾아주기 집중 캠페인’을 통해 총 2135명의 주주에게 약 433억원(주식 431억원, 대금 2억원)을 찾아줬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지난 9월 1일부터 10월 2일까지 5주간 상장기업 10개사와 공동으로 진행했다. 실명번호 오류 및 사망주주까지 찾아 단순한 캠페인을 넘어 ‘포용적 금융복원 프로젝트’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다.

예탁원은 행정안전부 협조를 통해 주주의 실제 거주지를 파악하고 실명번호 오류나 사망으로 그동안 통지할 수 없었던 장기 미수령 주주들에게도 주식을 찾아줬다. 그 결과 비실명(실명번호 오류) 주주, 우리사주조합 주주 등에게 약 711만주의 주식을 교부했다.

한국예탁결제원 관계자는 “이번 캠페인을 통해 주주의 권리를 회복하고 잊었던 자산이 다시 가계로 돌아가는 선순환 효과를 확인했다”며 “앞으로도 행정기관·발행회사와 협업해 미수령 주식뿐 아니라 상속·실명번호 오류 주주 등 사각지대에 있는 국민의 재산권을 보호하는 캠페인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