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과의 시간 증가, 자기개발 투자 등 호평 이어져
사업주 "구성원들 행복하면 생산성 내려갈 일 없어"
김동연 "생산성과 워라밸 두 마리 토끼 잡을 수 있다"[수원=이데일리 황영민 기자] “아이랑 보낼 시간이 많아졌어요.” 용인시 소재 기업 ㈜셀로맥스 사이언스에 근무하는 A씨는 지난 7월 주4.5일제 도입 이후 가장 달라진 점으로 가족 관계를 꼽았다.
이전에는 칼퇴(오후 6시 퇴근)를 해도 집에 도착해 씻고 저녁도 따로 먹어야 해 아이와 시간을 함께 하지 못하는 경우가 부지기수였다. 주4.5일제 도입 후 시차 출퇴근제를 적극 활용하고 있는 A씨는 “이제는 저녁을 먹고 함께 숙제를 하거나, 놀아주면서 아이와 관계가 한층 더 가까워진 것 같다”고 말했다.
김성락 셀로맥스 사이언스 총괄사장은 “구성원들이 행복하고 즐거우면 생산성이 내려갈 일은 없다고 본다. 이 변화에 살아남지 못하는 기업이라면 어차피 도태되는 기업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
이 자리에서 김동연 지사는 “여기가 모범기업으로 4.5일제 근무를 하고 있다고 하셔서 여러분들 삶에 변화가 있는지 보려고 왔다”며 “저는 앞으로 4.5일제가 일반화되고 그걸 징검다리로 주4일제까지 갈 수 있는 시대가 올 거라고 본다. 4.5일제 해도 워라밸 충분히 유지하면서 생산성이 올라간다는 손에 잡히는 결과를 만들어내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경기도가 대한민국 최초로 경기도가 4.5일제를 실시하고 있는데 제 직관으로는 생산성과 워라밸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는 확신이 있다”며 “마침 새 정부도 일부 시범사업을 한다고 해 자부심을 갖고 있다. 선제적으로 참여해주신 데 대해 감사드린다”고 덧붙였다.
셀로맥스 사이언스는 2014년에 설립된 건강기능식품·화장품 제조기업으로, 전체 직원 54명 중 약 67%가 20~30대 청년층이다. 이 기업은 지난 7월부터 경기도 주 4.5일제 시범사업 기업으로 선정돼 주 35시간제를 운영하며 시차 출퇴근제 등 청년 친화형 근무 문화를 조성하고 있으며, 주 4.5일제 도입을 계기로 근무 환경에 대한 인식 개선과 장기근속이 가능한 일터 조성에 앞장서고 있다.
이에 따라 도는 주4.5일제 장려금과 근태관리시스템 및 정착컨설팅 2회, 일하는 방식 개선 컨설팅 2회 등의 지원을 해왔다. 김동연 지사는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직원들과 주 4.5일제 시행 이후 변화와 근무 만족도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직원들은 “강아지 한 마리를 키우는데 5시에 퇴근을 하면 해가 있는 상태에서 산책을 해줄 수 있어서 삶의 질이 나아졌다”, “자기개발을 할 시간이 생겨 꽃꽂이 수업도 듣고 필라테스로 건강관리도 하게 됐다”는 만족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김성락 총괄사장은 “경기도에서 좋은 기회를 주셔서 감사드리고 앞으로 재택근무도 활성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김 지사는 “사회 전체적으로 각자의 위치에서 행복하고 즐겁게 일하는 사회가 된다면 우리가 생각하는 구조적인 문제들이 해결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인생의 소중한 시간을 이렇게 활용하게 되면 가족의 행복뿐만 아니라 쓸데없는 노동, 헛된노동도 없어질 것이라 확신하고 있다. 좋은 벤치마킹 케이스를 만들어달라”고 당부했다.
|
앞서 1, 2차 모집을 통해 선정된 경기도 내 기업 중 104개 기업과 1개 공공기관이 시범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선정된 기업에는 노동자 1인당 월 최대 26만원(주 5시간 단축 기준)의 임금 보전 장려금이 지원되며, 기업당 최대 2000만원 한도에서 △무 프로세스·공정 개선 컨설팅과 근태관리시스템 구축 지원 등 생산성 향상 지원도 제공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