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영 “KT, 통신망 해킹 의혹 은폐… 정부는 중간조사 결과 공개해야”

김현아 기자 TALK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KT(030200)가 통신망 해킹 사고와 관련해 증거 은폐 의혹을 받고 있는 가운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김우영 의원(더불어민주당·서울 은평을)이 “국민기업으로서의 책무를 저버린 행위”라며 정부에 중간조사 결과 공개를 촉구했다.

김 의원은 21일 국정감사에서 “KT가 매뉴얼을 무시하고 증거를 은폐한 정황이 드러난 상황에서 경찰 수사만을 이유로 조사 내용을 감춘다면 국민의 알 권리가 침해된다”며 “정부는 합동조사단의 중간 결과를 조속히 공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우영 의원(더불어민주당)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류제명 제2차관은 이날 답변에서 “KT의 조사 방해 정황을 확인해 지난 10월 2일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으며, 10월 10일 정식 접수됐다”고 밝혔다. 수사의뢰 사유는 침해사고 신고 지연, 서버 폐기 등 증거 은폐 가능성이 제기된 점이라고 설명했다.

KT는 8월 1일, 6일, 13일 총 8대의 서버를 순차 폐기했음에도 국회 보고 과정에서는 “해킹 관련 서버를 8월 1일 폐기했다”고 단일 시점으로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백업 로그가 존재했음에도 9월 18일 정부 조사단에 이를 제출하지 않은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김 의원은 “KT의 전산 지침에는 해킹 발생 시 관련 로그 등 증거자료 확보가 명시돼 있음에도, 정부의 자료 제출 요구 이후 서버를 폐기한 것은 명백한 은폐 시도”라고 비판했다.

보고 체계 미준수 문제도 도마 위에 올랐다. 김 의원은 “침해사고 발생 즉시 대표이사에게 보고하도록 되어 있지만, 김영섭 KT 대표가 한 달 가까이 지난 후에야 사안을 인지한 것은 중대한 내부 통제 위반”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김영섭 대표는 “국민께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며 “사태 수습에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일정 부분 수습이 이뤄지면 최고경영자로서 경영 책임을 지겠다”고 밝혔다.

김우영 의원은 “KT는 복제폰, 소액결제 등 2차 피해 우려가 남아 있는 만큼, 고객에게 피해 가능성을 명확히 고지하고 유심 변경 및 위약금 면제 등 실질적 보호 조치를 시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IT,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