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신고가 비중 24%로 반등
서초·광진·과천이 절반 넘어
“거래·심리 확산 막기 위해 규제 강화”[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6·27 가계부채 대책 이후 잠시 주춤했던 서울 아파트 시장에서 지난 9월 신고가 거래 비중이 다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격 상승 흐름이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한강벨트(마포·용산·성동구) 등 핵심 지역을 중심으로 퍼지는 양상이 포착돼, 정부가 10·15 부동산 대책을 통해 가격 상단 압력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를 단행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
서울 내부에서도 기존 규제지역을 중심으로 회복세가 뚜렷했다. 9월 기준 서초구의 신고가 비중은 54%로 가장 높았고, 강남구 42%, 용산구 35%, 송파구 32% 등으로 규제지역 내 주요 고가 주거지가 거래 회복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포구(44%)·성동구(43%)·광진구(50%)·동작구(36%)·강동구(37%) 등도 신고가 비중이 절반에 육박하며 회복세에 동참했다. 성동~광진~강동으로 이어지는 한강 동측 축과 마포·동작 등 도심 접근 지역을 중심으로 거래가 집중되면서 ‘핵심지 중심 회복’ 양상이 나타났다는 분석이다.
이 같은 흐름은 점차 중간권 지역으로 확산해 영등포구(29%), 양천구(28%), 서대문구(24%) 등 이른바 중간권 지역에서도 신고가 거래 비중이 커졌다. 반면 노원·도봉·금천 등 외곽 지역은 한 자릿수에 머물며 회복세의 온도 차가 나타났다.
경기도 역시 성남 분당·과천·하남 등 강남 접근성이 높은 지역이 상승세를 주도하는 등 서울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과천시는 9월 신고가 비중이 57%로 가장 높았고, 성남 분당구(43%)·하남(11%)·성남 수정구(21%)·중원구(23%) 등에서도 신고가 사례가 나타났다. 안양 동안구(9%)·의왕(5%) 등에서도 신고가 거래가 확인되며 회복세가 수도권으로 확산했다.
다만 확산 속도에는 지역별 격차가 컸다. 용인 수지(8%), 수원 장안(8%), 팔달(6%), 광명(7%) 등은 완만한 회복세를 보인 반면, 비규제지역은 상승 폭이 제한적이었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실 랩장은 “이번 대책은 강남권과 한강 벨트를 중심으로 형성된 가격 상단 압력을 관리하고 시장 기대 심리를 조절하기 위한 안정 조치로 해석된다”며 “가격 수준뿐 아니라 거래 흐름과 수요 이동 경로, 심리 확산 가능성까지 고려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단기적으로는 대책 발표에 따른 적응 기간이 불가피해 거래량이 일시적으로 조정을 받을 가능성이 있으나 자금 여력이 있는 수요층은 핵심 입지 중심으로 이동을 이어갈 것”이라며 “시장 전반의 동반 상승보다는 입지·상품성·자금 여건에 따른 ‘선택적 회복’ 구조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