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 정확도 95%로 향상"…한국콜마, ‘AI 팩토리’ 도입한다

김응태 기자
입력
수정 2025.10.20. 오전 9:39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산업부 'AI팩토리 과제' 선정…AI자율제조 시스템 개발
다품종 소량 생산 확대…여러 고객사 수요 즉각 대응
미국, 캐나다 등 해외 공장에도 AI팩토리 확대 적용
[이데일리 김응태 기자] 한국콜마(161890)는 산업통상부의 ‘인공지능(AI) 팩토리’ 과제에 선정돼 화장품 제조 공정을 통합한 AI 자율제조 시스템을 개발한다고 20일 밝혔다.

한국콜마 세종공장 전경. (사진=한국콜마)
AI 팩토리는 기계가 자동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스마트팩토리를 넘어 AI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스스로 판단해 생산 공정을 최적화하는 자율화 시스템이다.

한국콜마는 이번 사업을 통해 생산계획, 제조, 품질 관리, 충진·포장 등 각 공정을 모듈화하고 최적화한 AI 모델을 통해 공정 정확도를 세계 최고 수준인 95% 이상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를 통해 불량으로 인한 재작업을 줄이고 생산 효율성을 극대화할 방침이다. 특히 AI 팩토리로 전환 시 다품종 소량 생산이 가능해져 고객사의 다양한 수요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이번 과제는 오는 2029년 12월까지 4년 4개월간 진행된다. 한국콜마는 주관기업으로서 AI 팩토리 얼라이언스 바이오 분과에 참여해 화장품 제조업의 ‘인공지능 전환’(AX)을 선도할 계획이다. 주요 과제는 △화장품 생산 데이터를 통합·연계하는 플랫폼 구축 △품질 향상과 공정 정확도를 높이는 자율 공정 제어 AI 모델 개발 등이다.

향후 한국콜마는 AI 팩토리 성공 사례를 공유해 국내 화장품 기업들이 참고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한국 화장품 제조업 전반의 생산성을 높이고 혁신을 가속화한다.

아울러 한국콜마는 AI 시스템 개발이 완료되면 국내를 비롯해 미국, 캐나다, 중국 등 해외 공장에도 모두 적용할 계획이다. 또한 콜마비앤에이치(200130)(건강기능식품), HK이노엔(195940)(의약품), 연우(115960)(화장품패키지) 등 콜마그룹 전사 생산시설에도 확대 도입할 방침이다.

한국콜마는 지난 2019년부터 스마트팩토리(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해 모든 원천 데이터를 가공하는 작업을 완료했다. 이를 통해 제조 공정 불량률을 기존 대비 42%까지 감소시키는 성과를 거뒀다.

한국콜마 관계자는 “이번 AI 팩토리 사업에 화장품 기업 중 유일하게 주관기업으로 선정된 것은 한국콜마의 기술력과 혁신 역량을 인정받은 것”이라며 “AI 기반 자율제조 시스템을 통해 K뷰티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