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성근·김미화 등 MB정부 '블랙리스트' 국가배상 인정

성가현 기자
입력
수정 2025.10.17. 오후 3:37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2009년 문성근 배우 등 국정원 블랙리스트 명단 작성
1심 국가배상 청구 시효 지나 청구 기각→2심 인정
[이데일리 성가현 기자] 법원이 이명박 정부 당시 국정원 블랙리스트 명단에 올라간 문화·예술계 인사들에게 국가가 배상할 책임이 있다고 판단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이 지난달 23일 오후 서울 서초구 청계재단에서 예방온 이석연 국민통합위원장과 대화하고 있다. (사진=뉴스1)
서울고법 민사27-2부(재판장 서승렬)은 17일 오후 배우 문성근 외 35명이 대한민국, 이명박 전 대통령, 원세훈 전 국정원장 등을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소송 항소심에서 원고 일부 승소 판결을 내렸다.

재판부는 1심에서 손해배상 시효가 소멸했다는 이유로 기각된 국가 상대 청구를 인정했다. 재판부는 이명박 전 대통령, 원세훈 전 국정원장과 국가가 공동해서 원고에게 각 500만원과 지연이자를 지급하라 명했다.

문재인 정부 국정원은 지난 2017년 9월 이명박 정부가 2009년 구성한 ‘좌파 연예인 대응 TF’에서 정부 비판 성향을 드러낸 방송인들을 블랙리스트로 관리하며 불이익을 준 바 있다고 발표했다. 명단에 오른 배우 문성근, 방송인 김미화 등 36명은 같은 해 11월 정신적·물질적 손해를 주장하며 1억8000만원 상당의 손해배상 소송을 냈다.

1심 재판부는 원고 일부 승소 판결을 내렸다. 재판부는 이 전 대통령과 원 전 원장이 원고들에게 1명당 500만원씩 지급하라고 했다. 다만 재판부는 원고가 국가를 상대로 제기한 청구는 기각했다. 블랙리스트 작성 시기는 지난 2010년 11월이었지만, 소송 제기 시점은 지난 2017년 11월로 국가배상 청구 시효인 5년이 지나 청구권이 없다고 봤다.

그러나 원고와 피고 측 모두 판결에 불복하고 항소한 바 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