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 연봉 1억 수준…공휴일 근무땐 3배 수당
코로나 이후 관광객 감소, 적자 회복 더뎌[이데일리 채나연 기자] 프랑스 파리의 상징인 에펠탑이 적자 누적에 시달리면서 파리 시의회가 입장료 추가 인상을 검토하고 있다.
|
현재 성인 기준 에펠탑 최상층 엘리베이터 이용 요금은 36.10유로(약 6만 원)로 지난해보다 18%가량 인상된 상태다.
그럼에도 지난해 850만 유로(약 141억 원)의 손실을 기록했고 2031년까지 누적 적자가 3100만 유로(약 513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프랑스 회계감사원은 “운영사가 유지·보수 비용을 과소평가했다”고 지적했다. 2018년 재도장 공사 예산은 5000만 유로였지만 실제 비용은 세 배 가까운 1억 4200만 유로에 달했다. 북쪽 탑 엘리베이터 개보수에도 당초 예산(3200만 유로)의 두 배 가까운 5830만 유로가 투입됐다.
인건비 부담도 커지고 있다. 441명의 직원 인건비는 2019년 2590만 유로에서 올해 3230만 유로로 늘었으며 직원 평균 연봉은 7만 2317유로(약 1억 500만 원)에 달한다.
단순 업무직조차 보너스를 포함해 평균 4만 9032유로(약 7200만 원)를 받는다. 공휴일 근무 시 일당의 3배, 휴무일 근무 시 2배의 보너스를 받는 등 복지 혜택도 프랑스 공공기관 중 가장 높은 수준으로 꼽힌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관광객 급감 역시 타격을 키웠다. 봉쇄 기간 약 1억 4900만 유로의 수입이 증발했지만 여전히 회복되지 못했다.
운영사는 입장료 인상으로 적자를 메우려 했지만 시민들 사이에서 과잉 관광에 대한 반감이 커지자 방문객 목표치를 연 740만 명에서 660만 명으로 낮췄다.
파리 시의회는 “요금 체계 조정을 검토 중”이라며 사실상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프랑스 RMC 라디오 진행자 파스칼 드 라 투르 뒤팽은 “에펠탑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관광객이 찾는 명소 중 하나인데, 적자를 낸다는 사실이 믿기 어렵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