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일대 새린 “AI 호황, 소비·고용 부진 숨긴 가면”
“관세는 사실상 소비세…중산층 부담 커져”
트럼프1기 관료 “금 발표, 월 번복 패턴, 불확실성↑"[워싱턴=김상윤 특파원] “인공지능(AI)이 경기 호황의 가면을 쓰고 있다.”
미국 경제의 버팀목처럼 보이는 ‘AI붐’이 사실상 ‘관세 충격’을 가리고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초고율 관세가 성장률을 깎고, 중산층의 지갑을 조용히 잠식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
그는 “관세 인상은 수입품뿐 아니라 국내 생산재 가격까지 끌어올려 인플레이션을 자극한다”며 “AI 산업이 GDP 성장의 50~70%를 견인하며 약 2%포인트의 성장 기여를 하고 있어, 경기 둔화가 일시적으로 가려진 상태”라고 분석했다. AI 투자가 폭발적으로 늘면서 대규모 설비와 데이터센터 구축이 GDP를 끌어올리고 있지만, 이는 생산성 중심의 성장일 뿐 일자리와 실질소득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새린 교수는 “AI로 인한 투자 붐이 통계상 경기 활력을 보이게 하지만, 소비와 고용이 정체된 ‘이중 경제 구조’가 형성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
그는 “만약 위헌 판결이 나면 수조 달러 규모의 관세 수입 환급과 법적 재정비가 불가피하다”며 “의회의 견제가 약화된 행정부 단독 통상체제가 시장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이젠스탯은 또 “현재의 통상정책은 매우 좁은 핵심 그룹에서 결정되고, 대통령의 즉흥적 판단이 시장을 흔드는 구조”라며 “금요일 밤 관세 발표 후 월요일에 번복되는 패턴이 반복되면 시장 신뢰는 더 약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