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문화 담은 등대 4선 전시·공연·조형물 결합해 전망대·체험관 등 다양 가을 걷기·해돋이 코스도 지역관광 연계 효과 기대
부산 영도등대 (제공= 한국항로표지기술원)
[이데일리 이민하 기자] 한국항로표지기술원이 부산부터 울산까지 ‘등대해양문화공간’을 품은 ‘인생샷 등대 4선’을 추천한다. 아름다운 풍광과 함께 다채로운 문화와 예술 콘텐츠를 품은 등대해양문화공간을 함께 즐길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1906년부터 부산 앞바다를 묵묵히 지켜온 부산 영도등대는 남해안 인기 관광 명소다. 2004년 해양문화공간으로 새 단장을 거쳐 전시 관람도 가능하다. 내부 전시 공간에서는 ‘바다 끝, 기억의 빛’과 같은 특별한 참여형 전시를 만날 수 있다. 광활한 바다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야외 공연도 진행된다.
전남 여수 오동도등대와 동백꽃 (제공= 한국항로표지기술원)
여수의 심장, 오동도 정상에 자리한 오동도등대는 동백꽃의 붉은 물결이 장관을 이루는 곳이다. 1952년부터 여수 바다를 지켜온 상징적 존재로, 2011년 해양문화공간 개방 이후 전망대용 엘리베이터로 쉽게 방문할 수 있게 됐다. 홍보관과 전시실에서는 등대와 바다의 흥미로운 역사를 만날 수 있다. 드넓은 등대광장과 야외무대에서는 계절마다 다채로운 문화행사가 열린다. 특히 가을에는 산책로에 푸른 오동나무 숲과 동백꽃이 피어난다.
울산 간절곶등대와 등대 주변 조형작품 (제공= 한국항로표지기술원)
한반도에서 가장 먼저 해가 뜨는 곳으로 유명한 울산 간절곶등대는 ‘해맞이 명소’로 불리며 오랜 기간 사랑받아 왔다. 2001년부터 전망대와 홍보관을 통해 항로표지 장비, 디오라마, 아름다운 등대 사진 등 다양한 전시물을 선보이고 있으며, 등탑 주변의 감각적인 조형 작품들은 야외 갤러리에 온 듯한 느낌을 주고, 탁 트인 동해의 시원한 풍광은 명절연휴의 여유를 만끽하기에 더할 나위 없는 명소다.
울산 울기등대와 저녁노을 (제공= 한국항로표지기술원)
울산 울기등대는 숲과 바다가 어우러진 ‘힐링 스팟’이다. 1906년 처음 점등된 이 등대는 영상체험관, 선박조종 체험관, 무신호기 전시실 등 다양한 시설을 통해 아이들 교육 체험에 적합하다. 또한 학전망대에서 바라보는 대왕암의 절경을 파노라마로 감상할 수 있는 것도 특징이다. 또한 국가등록문화재 제106호로 지정된 ‘구등탑’이 시간의 무게를 고스란히 간직한 채 신등탑 옆에 보존돼 있어 역사적 가치도 느낄 수 있다.
한국항로표지기술원은 해양수산부 산하기관으로 바다의 안전을 책임지는 항로표지 관련 업무를 종합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등대해양문화 콘텐츠 개발사업으로 추진한 등대스탬프투어와 등대해양문화공간사업을 통해 지역관광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이민하(minha12@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데일리가 이 기사의 댓글 정책을 결정합니다.
댓글 정책 언론사별 선택제섹션별로 기사의 댓글 제공여부와 정렬방식을 언론사가 직접 결정합니다. 기사 섹션 정보가 정치/선거를 포함하는 경우 정치/선거섹션 정책이 적용됩니다. 언론사의 결정에 따라 동일한 섹션이라도 기사 단위로 댓글 제공여부와 정렬 방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단, 일부 댓글 운영 방식 및 운영규정에 따른 삭제나 이용제한 조치는 네이버가 직접 수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