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볍지만 성능은 초강력” 포스텍, ‘중엔트로피합금’ 개발 성공

구본혁 기자 TALK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 원자 수준 규칙성과 단계적 변형 거동 분석 통해 설계법 제시


김형섭 POSTECH 철강에너지대학원 교수.[POSTECH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국내 연구진이 원자 수준의 규칙성을 활용해 가볍고 강한 타이타늄 중엔트로피합금 개발에 성공했다.

한국연구재단은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김형섭 교수 연구팀이 타이타늄에 중엔트로피합금 설계 전략을 통합한 신합금 설계 기법을 제안하고, 경량·고강도·고연신을 동시에 실현한 합금을 구현했다고 밝혔다.

웨어러블 기기, 항공기, 자동차 부품 등 일상생활에서부터 최첨단 산업에 이르기까지 가볍고 강한 구조용 합금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일반적인 금속 재료는 강도와 연신율이 반비례하는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낮은 질량에도 높은 하중을 견딜 수 있는 타이타늄 합금과 여러 원소를 동등한 비율로 혼합하는 방법으로 설계의 폭을 넓힌 중엔트로피합금의 융합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새로운 조성을 찾는 설계 전략만으로는 우수한 기계적 물성의 타이타늄 기반 중엔트로피합금을 개발에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타이타늄 합금 설계기법과 중엔트로피합금의 서로 다른 설계기법을 통합하여 경량·고강도·고연신을 실현할 수 있는 새로운 합금 설계법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원자 수준의 관측이 가능한 고해상도 전자투과현미경과 에너지분산분광법을 통해 타이타늄 중엔트로피합금에서 다수의 주요 원소가 합금 내부에서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거치며 단거리 범위 규칙이 형성됨을 규명했다.

이는 원자 구조 수준에서 물성을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경량 합금 설계 방향을 제시한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점을 갖는다.

또한 이 같은 규칙이 합금의 변형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고, 금속이 늘어날수록 강도가 증가하는 가공경화 효과를 유도해 높은 연신율까지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김형섭 교수는 “새로운 합금 소재는 운송·에너지·우주항공 등 다양한 산업의 부품 경량화를 이끌어 연료 효율 향상과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이번 연구는 타이타늄 중엔트로피합금 개발의 출발점으로, 앞으로 다중 강화기구를 더욱 활용한 초고강도 타이타늄 중엔트로피합금 개발에 도전하겠다”고 말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 및 해외우수과학자유치사업(Brain pool)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 성과는 재료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악타 머티리얼리아(Acta Materialia)’에 10월 7일 게재됐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IT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