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硏, 국산 암진단 ‘방사성동위원소’ 중국 수출 성공

구본혁 기자 TALK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 남아프리카공화국, 파키스탄, 태국 이어 중국까지 진출
- 사이클로트론 및 자동분리장치 고도화로 수출 시장 확대


지르코늄-89 포장내부 납용기(왼쪽부터), 포장외장 용기, 방사성동위원소 용액.[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한국원자력연구원은 국산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 ‘지르코늄-89(Zr-89)’를 중국 씨레이 세라퓨틱스에 수출했다고 23일 밝혔다.

원자력연구원은 2018년 지르코늄-89 생산기술을 국산화한 이후 병원, 연구원, 대학 및 바이오기업 등에 안정적으로 공급해 왔다. 이번 수출로 남아프리카공화국, 파키스탄, 태국에 이어 중국 시장까지 진출했다.

지르코늄-89는 약물의 위치를 실시간 영상으로 추적할 수 있는 방사성동위원소로, 암세포만 정확히 찾아 결합하는 종양 특이적 항체단백질 신약 개발에 유용한 물질이다.

대형병원 PET(양전자방출단층촬영장치)에 쓰이며 종양의 진단과 치료 모니터링, 면역치료제 검증, 나노바이오소재 평가 등 다양한 의학·바이오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이번에 수출된 지르코늄-89는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 ‘RFT-30 사이클로트론’에서 이트륨-89에 양성자를 충돌시켜 생산한 것으로 분리정제를 거쳐 0.3mL의 주사액 형태로 공급된다.

일반 일회용 인공눈물보다 적은 양이지만 약 600만원에 달하는 고순도·고부가가치 정밀 의약 원료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에 위치한 ‘RFT-30 사이클로트론’.[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박정훈 박사가 이끄는 연구원 사이클로트론응용연구실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을 통해 지르코늄-89의 안정적인 국내외 공급을 위해 생산시스템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다.

사이클로트론 자율운전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자동으로 운전이 정지되는 인터락(Interlock) 기능을 추가해 안전성을 강화했다. 또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적용한 지르코늄-89 자동분리장치를 개발해 99.99%의 고순도 제품을 국내외 수요에 맞춰 신속히 공급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했다.

정병엽 첨단방사선연구소장은 “지르코늄-89의 수요가 국제적으로 증가하면서 연구원이 개발한 방사성동위원소 생산시스템의 수출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며 “이번 중국수출로 연구원이 방사성동위원소 기술의 아시아 허브로 자리매김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IT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