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한 어깨·허리통증인 줄 알았는데…완치됐던 ‘이 암’ 재발한 20대女

장연주 기자 TALK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장연주 기자[ 영국의 한 여성이 어깨, 허리 통증을 단순한 근육통으로 여겼다가 유방암 4기 진단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17일 더선 보도에 따르면, 영국 뉴캐슬어폰타인 지역에서 마케팅 매니저로 일하는 클레어 사코(31)는 지난 2019년 25세의 나이에 처음 유방암 진단을 받았다. 당시 그는 샤워하던 중 왼쪽 가슴에 덩어리가 만져져 병원을 찾았다가 암 확진 판정을 받았다.

하지만 1년 간 수술, 항암 치료를 받고나서 ‘완치’ 판정을 받았다.

클레어는 “치료가 잘 돼 몸에 암의 흔적이 전혀 없다는 말을 들었다”며 “안도의 감정과 함께 앞으로 나아갈 인생에 집중할 수 있게 돼 좋았다”고 했다.

이후 그는 지난 2023년 오른쪽 어깨, 허리에 극심한 통증을 느꼈다.

클레어는 “당시 정말 심한 통증을 겪었지만, 하루 종일 나쁜 자세로 노트북 작업을 하면서 신경이 눌렸을 거라 생각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해 3월 정기검진에서 간과 폐에 종양이 생긴 사실을 알게 됐다.

이에 대해 의료진은 유방암이 전이된 게 확실해, 유방암 4기 상태에 해당하며 폐와 간에도 암이 상당히 광범위하게 치료가 불가능하다고 했다.

클레어는 “간에서 오른쪽 어깨로 이어지는 신경이 있는데, 간에 생긴 암 덩어리 일부가 그 신경을 누르고 있었다”며 “숨이 차는 증상도 꽤 심했다”고 했다.

클레어는 현재 항암치료를 받는 중이며, 치료는 다행히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했다.

한편, 유방암은 완치율이 90% 이상을 기록할 정도로 치료가 잘 되는 암에 속한다. 다만, 클레어처럼 이미 전이가 이뤄진 상태에서는 완치율이 급격히 떨어진다.

약햑정보원에 따르면, 암세포가 인체의 다른 장기로 전이돼 완치가 어려운 4기 유방암의 5년 생존율은 조기 진단 유방암의 경우 90% 이상인데 비해 22%에 불과하다. 따라서 유방암이 커지고 전이되기 전에 엑스레이 검사와 초음파 검사를 두 개 다 하면서 검사하는 게 좋다.

특히 가족력이 있거나 비만한 유방암 고위험군은 20대부터 검사를 해보는 게 안전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