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접 중심 선발’ GIST, 2026년 수시모집 15.49대 1

구본혁 기자 TALK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 215명 모집 3331명 지원
- 최근 5년간 지원자 62%↑


GIST의 정체성과 상징성을 담아 새로운 랜드마크로 완성된 GIST 정문.[GIST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2026학년도 수시모집에서 15.49대 1(215명 모집, 3331명 지원)의 경쟁률을 기록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보다 지원자가 12.8% 증가하며 경쟁률 역시 상승한 것이다.

최근 5년간 수시모집 지원자도 2022학년도 2048명에서 2026학년도 3331명으로 62.6% 증가했다.

올해 수시모집의 전형별 경쟁률은 ▷고른기회전형 22.6대 1(15명 모집, 339명 지원) ▷특기자전형 17.5대 1(10명 모집, 175명 지원) ▷학교장추천전형 14.55대 1(40명 모집, 582명 지원) ▷일반전형 12.64대 1(150명 모집, 1,896명 지원)로, 모든 전형에서 지난해보다 경쟁률이 상승했다.

GIST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울산과학기술원(UNIST),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KENTECH)와 함께 특별법에 따라 수시모집 6회 지원 제한에서 제외되는 과학기술특성화대학으로, 복수지원이 가능한 점이 경쟁률 상승의 한 요인으로 꼽힌다.

그러나 4대 과기원 중 GIST만이 모든 전형에서 면접을 실시하고 있다. 면접이 수험생에게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음에도 GIST의 지원자가 꾸준히 증가하는 것은 ‘면접 중심 선발’이라는 GIST의 교육철학에 대한 신뢰와 공감이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GIST는 성적이나 서류 중심의 평가에 의한 ‘수치 경쟁’을 지양하고, 면접을 통해 수험생 개개인의 창의적 사고력, 논리적 표현력, 진학 의지 등을 직접 확인하고 있다.

이수정 입학학생처장은 “면접이 수험생에게 심리적 부담이 크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며 “그러나 GIST는 학생의 열린 사고와 태도를 직접 보고, 숫자로 드러나지 않는 성장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철학에 공감하는 수험생이 늘면서 경쟁률 상승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한편 GIST는 올해 2월 학사조직 개편을 통해 학사과정 1학년 신입생 교육을 위한 ‘도전탐색과정’을 신설했다.

GIST의 모든 신입생은 도전탐색과정 소속으로 입학해 수학·컴퓨터 프로그래밍·생물학·물리학·화학 등 기초과학과, ▷언어 ▷소프트웨어 ▷예체능 ▷세미나 등 5개 필수 영역, 그리고 철학·법학·경제학·역사학·정치학 등 인문·사회과학 분야의 선택 영역을 탐색한다.

이후 2학년 진학 시 ‘전공 선언(major declaration)’을 통해 비로소 자신의 전공을 선택하게 된다.

이는 단순히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넘어, 과학기술을 인간과 사회, 세계를 바라보는 ‘창’으로 확장하고, 인문·사회과학적 사유와 실천을 바탕으로 과학기술의 방향성을 성찰하는 인재를 키우려는 GIST의 교육철학을 반영한 것이다.

GIST는 오는 12월 12일 2026학년도 수시모집 최종합격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IT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