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수신료 내일부터 통합징수…KBS “대하드라마 매년 제작, 수신료 가치에 보답”

최원혁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KBS. [연합]


[헤럴드경제=최원혁 기자] TV 수신료 통합징수 시행을 하루 앞두고 KBS가 공영방송 가치를 증명하기 위한 계획을 발표했다.

22일 KBS는 수신료 통합징수 재개를 계기로 공공성 강화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KBS는 내년 하반기 정통 사극 ‘대왕 문무’ 방영을 시작으로 매년 대하드라마를 제작할 방침이다.

아울러 올해 광복 80주년을 맞아 선보인 ‘조용필, 이 순간을 영원히’와 같은 대형 프로젝트 공연 기획을 정례화한다. K-컬처의 세계적 확산에 기여할 K-팝 공연도 기획한다.

이와함께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역사 콘텐츠, 국가적 의제를 제시하는 다큐멘터리 제작에 박차를 가한다. 저출생 극복 TV 캠페인을 펼치고 어린이 전용 콘텐츠도 만들 예정이다.

이번 공공성 강화 계획은 TV 수신료 통합징수 재개에 맞춰 나왔다. TV수신료는 KBS의 주요 재원으로, 1994년부터 전기요금과 통합 징수돼 왔으나 2023년 7월 방송법 시행령 개정으로 분리된 바 있다. 올해 4월 이를 되돌리는 내용이 담긴 개정안이 통과됐고 법안 공포 6개월인 이달 23일부터 통합징수가 본격 시행된다. TV 수상기를 보유한 각 가정 등에는 11월부터 전기요금 고지서에 TV 수신료가 함께 청구된다.

KBS는 “제2의 창사 수준으로 공영성, 공공성, 공익성 강화 계획을 재정비해 국민이 내주시는 수신료의 가치에 보답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