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영섭 KT 대표가 지난달11일 서울 종로구 KT 광화문빌딩 웨스트 사옥에서 소액 결제 피해와 관련해 고개 숙여 사과하고 있다. [연합] |
[헤럴드경제=고재우 기자] 김영섭 KT 대표가 “(사이버 침해 상황이) 수습되면 책임질 것”이라고 밝혔다. 불법기지국(펨토셀)을 고리로 한 사이버 침해 피해 상황이 갈수록 확산되면서 국회에서 사퇴 요구가 잇따르자 이에 입장을 표명한 것이다. 김 대표가 사퇴 입장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또 KT ‘전체 고객’을 대상으로 개인정보 유출 등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를 통해 공지할 뜻임을 나타냈다.
21일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국정감사에서 김 대표는 ‘(사이버 침해 피해에 대해 책임질 생각이 있느냐’는 질의에 대해 “최고경영자는 총체적 책임이 있다”며 고개를 숙였다.
김 대표는 “일정 수순 수습이 되고 나면 마땅한 책임을 지는 것이 마땅하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김 대표는 전체 고객을 대상으로 개인정보 유출에 대해 알리겠다는 답변도 내놨다. 지난 9월 8일 사이버 침해 신고 발생 이후 KT는 고객 개인정보 유출에 대해 공지하는 대신 홈페이지를 통해 고객이 스스로 ‘조회’하는 방식을 택했다.
이런 가운데 불법기지국 ID 추가 발견, 접속자 수 확대, 개인정보 추가 유출 가능성 등이 높아지자 문제제기가 이어졌기 때문이다. 개인정보 유출 조회를 통해 유출이 없었다고 확인한 고객이라도, 피해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피해 사실이 확인될 수 있다.
김 대표는 “(고객에 대한 고지가) 불충분했음을 반성하고, 그렇게 하겠다”고 답했다. 단 전체 고객에 대한 위약금 면제 등 보상 관련해서는 말을 아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