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말 나라살림 적자 88조원 ‘역대 두 번째’…나랏빚 1260조원 돌파

양영경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2차 추경이 집행 본격화한 영향 커”
총수입 35조원·총지출 38.4조원 증가


[헤럴드경제=양영경 기자] 올해 8월 말까지 나라 살림살이 현황을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 적자 규모가 88조원대를 기록했다. 코로나19 여파가 있었던 2020년 8월 96조원에 이어 같은 기간 기준으로는 역대 두 번째로 큰 규모다. 나랏빚도 1260조원대로 한 달 만에 20조원 넘게 불어났다.

올해 두 차례의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으로 지출이 크게 늘어난 반면, 수입 증가세는 제한적이어서 재정 건전성을 둘러싼 우려는 지속되고 있다.

16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월간 재정동향 10월호’에 따르면 8월 말 기준 총수입은 431조7000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35조원 증가했다.

세종시 어진동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뉴시스]


국세수입은 260조8000억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28조6000억원 늘었다.

우선 법인세가 기업실적 개선과 법인 이자·배당소득 증가에 힘입어 17조8000억원 증가했다. 소득세도 9조6000억원 늘었다. 성과급 확대 및 근로자 수 증가에 따른 근로소득세 증가, 해외주식 호조 등에 따른 양도소득세 증가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교통세는 유류세 탄력세율 부분 환원에 따라 1조3000억원 증가했다.

반면 부가가치세는 환급 증가와 세정 지원 효과로 1조2000억원, 증권거래세는 코스닥 중심의 증권거래대금 감소 등으로 1조3000억원 각각 줄었다.

세외수입은 22조8000억원으로 2조2000억원 늘었고, 기금수입도 148조1000억원으로 4조2000억원 증가했다.

총지출은 485조4000억원으로, 작년보다 38조4000억원 증가했다.

그 결과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53조7000억원 적자를 냈다. 통합재정수지에서 국민연금 등 4대 보장성 기금을 차감해 정부의 실질적인 재정 상태를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는 88조3000억원 적자였다.

황희정 기재부 재정건전성과장은 “2차 추경이 집행이 본격화한 영향이 크다”며 “2차 추경 당시 관리재정수지 적자 연간 규모를 111조6000억원으로 예측했었는데 그 수준으로 가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중앙정부 채무 잔액은 전달보다 20조4000억원 증가한 1260조9000억원으로 역대 최대다. 정부는 2차 추경에 따라 올해 중앙정부 채무와 지방정부 채무를 합친 나랏빚이 1301조9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다.

9월 국고채 발행 규모는 21조5000억원으로, 올해 들어 9월까지 누적으로는 187조5000억원어치 발행돼 연간 총발행 한도의 81.6%를 소화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