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용 드론 활용 극대화…SKT, 군 ‘통신 중계 드론’ 개발 MOU

고재우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펀진 등과 함께 통신 중계 드론 설루션 개발
상용망 저주파수, 핸드오버 등 작전 반경·시간↑
무선회선·AI·위성통신·이음5G 등 첨단 기술 적용


SK텔레콤 을지로 사옥. [SK텔레콤 제공]


[헤럴드경제=고재우 기자] SK텔레콤은 펀진, 코난테크놀로지, 콘텔라, 플랙토리 등과 함께 군사용 드론 작전 반경을 확대를 위한 ‘통신 중계 드론’ 개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서울 SKT 남산사옥에서 열린 이날 협약식에는 나경환 SKT 엔터프라이즈솔루션본부장, 김정훈 펀진 사업전략본부장, 김규훈 코난테크놀로지 국방AI사업부장, 김태연 콘텔라 MTS사업부문장, 김태훈 플랙토리 대표이사 등이 참석했다.

통신 중계 드론은 통신이 어려운 지역 등에서 공격·정찰용 드론이 작전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무선통신을 이어주는 중계기 역할을 한다. 현재 군에서는 이음 5G 주파수를 활용해 통신 중계 드론을 구현하고 있다.

단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의 고 주파수 특성상 작전 반경이 제한됐다.

이번 MOU로 개발될 통신 중계 드론은 상용망의 800㎒ 등 저 주파수를 활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전파 도달 거리 대폭 확대는 물론, 장애물이 많은 도심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전 반경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란 게 SKT 설명이다.

특히 통신 중계 드론 간 핸드오버 기술이 적용됐다. 핸드오버란 끊김 없이 이동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이다. 통신 중계 드론 한 대가 격추되더라도, 공격·정찰용 드론은 다른 통신 중계 드론에 접속할 수 있다. 복수의 중계 드론 교대로 운영해 안정성을 개선하는 식이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 사장. [SK텔레콤 제공]


MOU 참여 기업들은 각사의 핵심 기술을 제공할 예정이다. 세부적으로 SKT는 무선 회선, 핸드오버 기술 및 실시간 영상 관제를 담당한다. 장거리 전송이 가능한 저주파수 대역과 실시간 영상 관제 시스템인 T라이브캐스터를 결합해 작전 드론의 실시간 영상을 후방 드론 조종사에게 전송한다.

각 기업들은 각자의 영역에서 핵심 기술을 제공할 계획이다. 국방 버티컬 AI 기업 펀진은 드론 무선 품질 측정과 AI 기술을 담당한다. 인공지능 전문기업 코난테크놀로지는 엣지 전술 장비를 통해 협력한다.

이동통신 장비업체 콘텔라는 위성통신 기반 이동기지국, 5G 특화망 전문기업 플랙토리는 미니 PC 기반 이음 5G 코어 및 통신장비를 맡았다.

김경덕 SKT 엔터프라이즈사업부장은 “각 사의 설루션에 기반한 군 통신 중계 드론 구현으로 드론의 작전 반경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상용망 기술을 군 통신에 적용해 국방 역량 강화에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IT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