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기사와 무관. [게티이미지뱅크] |
[헤럴드경제=김성훈 기자] 50세 이후 금연하더라도 담배를 계속 피우는 것에 비해 언어 유창성과 기억력 등 인지기능 저하 속도가 크게 늦춰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미카엘라 블룸버그 박사팀은 14일 의학 저널 랜싯 건강한 장수(Lancet Healthy Longevity)에서 이 같은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영미와 유럽의 50세 이상 금연 및 흡연자 4718명을 선별해 1 대 1로 비교했다. 금연자 그룹과 흡연자 그룹은 연구 시작 시점의 인지능력 점수뿐 아니라 나이, 성병, 교육 수준, 출생국 등 요인을 일치시켰고, 연구 시작 전후 6년간, 총 12년 동안의 언어 유창성과 기억력 변화를 추적했다.
그 결과 금연 직전 6년 동안 두 그룹의 기억력과 언어 유창성 점수는 거의 같은 속도로 감소했으나, 금연 이후 6년 동안은 두 그룹의 점수 변화가 뚜렷하게 달라졌다. 금연 그룹은 언어 유창성 저하 속도가 흡연 그룹보다 약 50% 느려졌다. 또 기억력 저하 속도는 약 20% 느려졌다.
흡연자의 언어 유창성과 기억력이 1년 치만큼 노화가 진행됐다고 볼 경우, 금연자의 언어 유창성은 노화가 6개월 정도, 기억력은 3~4개월 정도 덜 진행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흡연이 뇌 건강에 해로운 이유 중 하나는 뇌에 산소를 공급하는 혈관을 훼손하는 등 심혈관 건강에 나쁜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흡연은 또 만성 염증을 유발하고 산화 스트레스를 통해 뇌세포를 직접 손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금연 후 단기적으로 인지기능이 개선된다는 이전 연구들이 있었지만 이런 개선 효과가 장기적으로, 특히 중·노년기에 금연한 사람에게도 지속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며 이번 연구의 의미를 평가했다.
논문 공동 저자인 앤드루 스텝토 교수는 “인지기능 저하가 느릴수록 치매 위험이 낮다. 이 결과는 금연이 치매 예방 전략이 될 수 있다는 근거를 더해준다”며 “다만 이를 확정하려면 치매 자체를 직접 다루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