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 |
[헤럴드경제=김주리 기자] 공인회계사 시험에 합격하고도 수습 기관을 찾지 못한 일명 ‘미지정 회계사’들이 선발인원 축소를 요구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공인회계사 선발 인원 정상화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14일 오전 서울정부청사 앞에서 미지정 회계사와 청년공인회계사회 회원 등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시위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올해 공인회계사 시험 합격생을 중심으로 한다. 이들은 “금융당국은 잘못된 수요 예측에 기반한 현재의 선발 인원에서 탈피하고 회계법인 내에서 양질의 실무 수습이 가능한 수용 인원으로 선발 인원을 정상화하라”고 촉구했다.
청년공인회계사회에 따르면 미지정 회계사는 작년 200여명, 올해 400여명으로 누적 600명이다. 올해 선발 예정 인원(1200명)의 절반 수준이다.
청년공인회계사회는 보도자료에서 “정부가 내부회계관리제도 유예, 지정감사제 면제, 표준감사시간 관련 조항 폐지 등 회계 투명성을 약화하는 정책을 밀어붙이는 동시에 회계사를 과다 선발해 시장의 ‘실무 수습 인프라’가 붕괴했다”고 지적했다.
회계법인 뿐만 아니라 기업에서도 수습 회계사를 수용하지 않아 내년 누적 인원은 더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또 실무 기회가 줄어들면 감사 품질이 무너지고, 자본시장 신뢰도 흔들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2023년까지 선발 예정 인원을 1천100명으로 유지하다 지난해 최소선발인원을 1천250명으로 늘렸다. 올해는 1천200명으로 결정됐다.
지난해 한국공인회계사회는 한국회계학회, 회계정책연구원과 함께 진행한 ‘공인회계사 적정 선발인원에 관한 연구’에서 올해 적정 선발 인원을 ‘836~1천83명’으로 제시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에 더해 청년공인회계사회는 ▷수습 인프라 기반 정책 전면 재정비 ▷표준감사시간제도 도입 ▷내부회계관리제도 전면 시행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