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성동구치소 부지. |
[헤럴드경제=김성훈 기자] 서울시가 송파구 가락동 옛 성동구치소 부지에 핵·화생방 민방위 대피 시설을 짓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13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와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는 옛 성동구치소 부지에 조성 중인 대단지 공공아파트(송파 창의혁신 공공주택) 지하 3층에 핵·화생방 대피 시설 설치할 계획이다. 아파트 준공 시점인 2028년에 맞춰 준공하는 것을 목표로 설계용역을 진행 중이다.
지방자치단체가 독자적으로 핵 방호 능력을 갖춘 민방위 시설을 짓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약 34억원이 투입될 것으로 추산되는 이 대피 시설은 연면적 2147㎡로 최대 1020명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다. 내부에는 핵·화생방 공격 시 14일간 생존이 가능한 설비가 갖춰진다. 대피 공간인 청정 구역을 비롯해 제독 구역, 청정 기계실 등이 설치된다. 급수·위생 시설도 만들어진다. 평상시에는 주민 운동시설로 활용될 예정이다.
서울시는 이 시설을 시범 모델로 삼아 앞으로 다른 지역에도 이 같은 민방위 시설을 구축할 계획이다. 핵·화생방뿐만 아니라 전자기펄스(EMP) 공격을 대비한 기능도 추가할 예정이다. 기존 민방위 시설이 충분한 생존 조건을 갖추도록 개선하는 작업도 진행된다.
서울시는 지난해 3월 수립한 ‘디펜스 서울 2030’ 계획에 핵·화생방 대피시설 건립을 주요 사업으로 포함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서울광장 하부와 주요 지하철 역사에 화생방 대피시설을 마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