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도 집 사면 실거주” 한달새 매수 24% 줄었다

윤성현 기자 TALK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9월 외인 798명 수도권주택 매수
미·중 국적 매수자 이탈 두드러져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용산 및 강남 일대 아파트단지 임세준 기자


정부가 서울 전역을 비롯한 수도권 주요 지역을 외국인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 이후, 외국인의 주택 매수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9월 수도권 집합건물(아파트·오피스텔·연립·다세대주택)을 매수한 외국인은 798명이었다. 이는 8월의 1051명보다 253명 감소한 수치로, 약 24% 줄어든 규모다.

국토교통부가 8월 26일부터 외국인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지정한 이후 주택 매수세가 잦아든 것으로 풀이된다.

지역별 수치를 살펴보면 서울에서는 강서구의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외국인 강서구 집합건물 매수자는 8월 16명에서 9월 5명으로 줄었다. 같은 기간 종로구도 12명에서 1명으로 급감했다. 국적별로 보면, 강서구에서는 중국인 매수자가 10명에서 2명으로 가장 많이 줄었다.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의 경우 같은 기간 집합건물 외국인 매수자 수가 강남구는 12명에서 6명으로, 송파구는 9명에서 8명으로 각각 줄었다. 서초구 집합건물 외국인 매수자는 8월 13명에서 9월 15명으로 되려 소폭 증가했다.

인천 연수구는 수도권 전체에서 외국인 집합건물 매수 감소폭이 가장 컸다. 8월 221명이던 외국인 매수자는 9월 111명으로 반토막 났다. 국적별로는 미국인이 132명에서 62명으로, 중국인이 37명에서 19명으로 줄었다.

국적 기준으로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중국과 미국 국적 매수자의 이탈이 두드러졌다. 수도권 전체 기준으로 중국 국적 집합건물 매수자는 601명에서 499명으로, 미국 국적 집합건물 매수자는 247명에서 159명으로 줄었다.

외국인 매수뿐만 아니라 매도 역시 외국인 토허제의 영향을 받아 감소세를 보였다. 서울의 외국인 집합건물 매도자는 8월 248명에서 9월 165명으로 줄었고, 인천은 40명에서 37명, 경기도는 147명에서 138명으로 소폭 감소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강남구 집합건물 외국인 매도자수가 급감한 것이 눈에 띈다. 8월 한달 강남구에서 집합건물을 매도한 외국인은 77명이었지만 9월 접어들어 7명에 불과해 10분의 1 규모로 축소됐다.

한편 정부는 지난 8월 26일 서울 전역과 인천, 경기 주요 지역을 외국인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했다. 이에 따라 외국인이 주택을 거하려면 사전 허가를 받아야 하며, 취득 후 4개월 내 입주하고 2년간 실거주해야 한다.

이 같은 규제 강화가 외국인 수요 억제에 일시적으로 효과를 보인 것으로 보인다. 윤성현 기자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