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10년 뒤 양자·우주서도 1위"

입력
수정 2025.10.22. 오후 8:02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레드테크2.0
중국 테크 굴기의 비밀

'중국제조 2035' 혁신 속도전
중국 저장성 항저우에는 ‘여섯 마리 용’이 살고 있다. 오픈AI 대항마로 꼽히는 딥시크를 필두로 유니트리와 딥로보틱스(휴머노이드), 브레인코(뇌컴퓨터 인터페이스), 매니코어(AI 공간지능), 게임사이언스(게임) 등이다. 10년 전 공산당이 그린 ‘중국제조 2025’ 프로젝트가 배출한 ‘레드테크’(중국의 최첨단 기술) 선두 주자다. 지난달 16일 저장대에서 만난 한 컴퓨터공학과 학생은 “량원펑 선배(딥시크 창업자)처럼 되는 게 목표”라며 “선배들의 잇따른 성공 덕분에 학생들이 뭐든 다 할 수 있다는 자신감에 차 있다”고 말했다.

2015년 세운 10년 뒤 목표를 대부분 달성한 중국이 새로운 10년 후 미래를 그렸다. ‘중국제조 2035’다. 휴머노이드, 신(新)에너지, 배터리 등 중국이 이미 세계 최강 반열에 오른 기술은 더 다듬고 양자기술, 우주, 반도체, 인공지능(AI) 등 뒤처진 기술은 퀀텀 점프를 통해 세계 1위에 오른다는 목표를 담았다. 중국제조 2025로 입증한 성공 방정식을 그대로 적용하는 만큼 중국제조 2035도 현실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한국이 교육, 노동, 세제 등 각종 기업 관련 시스템을 뜯어고치지 않으면 10년 뒤 레드테크에 밀려 궤멸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항저우=신정은/김보형 기자 newyearis@hankyung.com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