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기름으로 튀긴 삼양라면, 36년만에 재출시

장지민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우지 파동' 뒤로 하고 재도약 의지
1963년에 판매한 삼양라면 / 사진 = 삼양 제공

삼양식품이 '우지(소기름)'을 쓴 라면을 36년 만에 다시 내놓는다.

21일 삼양식품은 다음 달 신제품 발표 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신제품 이름은 국내 최초로 라면을 출시한 1963년을 기념해 '삼양라면 1963'으로 정해졌다.

삼양라면 1963은 국물 라면 최초로 우골, 즉 소뼈로 만든 별첨 액상 스프를 채택했다. 또한 면을 우지, 소기름으로 튀겼다는 게 특징적이다. 면을 소기름으로 튀기면 고소한 풍미가 강하다.

과거 삼양라면은 1989년 라면에 공업용 우지를 사용했다는 이른바 '우지 파동'으로 시장 점유율이 급락한 바 있다.

당시 보건사회부(현 보건복지부)는 우지 라면이 인체에 무해하다고 밝혔지만, 삼양식품 이미지는 큰 타격을 입었다.

우지 파동 이후 삼양식품은 우지를 쓰지 않고 팜유만 사용해왔다.

하지만 최근 우지에 관한 인식이 크게 개선되면서, 소비자 입맛에 맞춘 프리미엄 제품을 출시하게 됐다.

실제로 팜유의 포화지방산 비율은 50%에 달하는 반면, 우지는 43% 수준이다.

그간 1980년대 라면의 맛을 잊지 못하고 꾸준히 재출시 요청을 해온 소비자들은 우지 라면 재등장 소식에 반색을 보이고 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