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억 개인정보 맘껏 써라"…챗GPT 제친 中 공산당의 '파격'

입력
수정 2025.10.22. 오전 1:18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레드테크2.0 中 테크 굴기의 비밀

얼굴로 결제…규제 풀자 커진 中 신산업

'우선 실행·우선 실험' 정책 덕에
드론·얼굴인식 등 기술혁신 속도
키오스크에 예약번호를 입력하고 얼굴을 들이밀자 스마트폰에 방 번호가 떴다. 방문을 열 때도, 조식을 먹을 때도 화면에 얼굴만 비추면 끝이다. 로비 라운지에는 로봇이 커피와 아이스크림을 만드느라 분주했다. 방 안에서는 ‘음성 비서’가 다 챙겨줬다. 커튼을 열고, 조명을 켜기 위해 몸을 일으킬 필요가 없다. 프런트로 연결되는 전화는 없다. 필요한 것은 스마트폰으로 QR을 찍어 다 해결할 수 있다. 수건과 얼음을 요청하자 서빙 로봇이 벨을 눌렀다.

인공지능(AI)과 얼굴인식, 로봇 기술로 가득한 이곳은 알리바바가 중국 항저우에서 운영하는 290실 규모의 4성급 호텔 ‘페이주부커’다. 첨단기술이 인건비를 덜어준 덕분에 숙박료는 536위안(약 10만원)에 불과하다. 전문가들은 이런 혁신적인 호텔이 중국에서 생겨난 비결로 규제 완화를 꼽는다. 중국 특유의 ‘선행선시’(先行先試·우선 실행 우선 실험) 정책 덕분에 중국 기업은 개인정보 규제 등을 걱정하지 않고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는 2017년 얼굴인식을 국가 전략기술로 지정해 관련 산업을 키웠다. 4년 뒤 개인정보보호법을 만들었지만 폭넓은 예외를 인정해줬다. 기업, 지하철, 식당, 자동판매기 등 얼굴인식 기술이 일상처럼 쓰이게 된 배경이다.

중국은 똑같은 잣대로 기업에 하늘길을 열어줘 드론산업을 키웠고, 서울의 다섯 배에 달하는 구역에서 자율주행 실험을 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업계 관계자는 “온갖 규제에 막혀 기술 개발 속도가 더딘 한국과 달리 중국은 ‘실험실 기술’을 실전에 활용하며 초스피드로 기술력을 끌어올리고 있다”고 말했다.

< 얼굴인식으로 지하철 탑승 > 센스타임의 비전AI 기술이 적용된 중국 지하철 개찰구. 승객들은 얼굴인식이나 QR코드로 요금을 자동 결제하며 비접촉식으로 지하철에 탑승할 수 있다. 센스타임 제공
마이크를 든 사회자는 끝내 등장하지 않았다. 빈자리는 무대에 설치된 화면에 뜬 ‘디지털 사회자’가 대신했다. 국제무대에 처음 데뷔한 디지털 사회자는 말 그대로 ‘팔방미인’이었다. 개회사를 일곱 개 언어로 동시통역하는가 하면, 콘퍼런스 내용을 실시간으로 요약하고, 연사의 입에서 나온 핵심 단어에 꼭 들어맞는 사진을 곧바로 화면에 띄웠다.

지난달 17일 중국 광시좡족자치구 난닝에서 열린 중국·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박람회는 인공지능(AI)이 바꿀 미래 콘퍼런스의 모습을 엿볼 수 있는 무대였다. 이런 AI 모델을 개발한 업체는 1999년 탄생한 중국 음성인식 기업 아이플라이텍. 중국 정부가 음성인식, 얼굴인식, AI 등을 훈련시키는 데 공공 데이터를 무제한 쓸 수 있도록 허용해준 덕분에 아이플라이텍은 단숨에 세계 최고 수준의 음성인식 및 AI 활용 기술을 확보할 수 있었다.
< 130개 언어 실시간 통역 > 아이플라이텍 직원이 자체 개발한 AI 추론모델을 통한 1 대 1 맞춤 심화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학습자가 어떤 언어(130여개 지원)를 사용해 질문하더라도 실시간 동일한 언어로 학습이 이뤄진다. 허페이=김은정 특파원
아이플라이텍의 기술력은 이미 시장에서 검증받았다. 실시간 통·번역이 가능한 언어만 130여 개에 이른다. 단순 통·번역을 넘어 문맥에 맞게 말과 글을 순화하기도 한다. 여기에 AI를 입혔다. 중국 정부가 내준 방대한 공공데이터 덕분에 훈련 강도와 속도를 끌어올릴 수 있었다.

AI로 무장한 아이플라이텍의 음성인식 기술은 중국의 산업 경쟁력을 높이는 플랫폼 기술로 확장하고 있다. 중국 가전기업 하이얼의 에어컨 생산라인에 ‘품질검사 요원’으로 투입된 게 대표적 예다. 생산라인에서 나오는 미세한 소리를 꼼꼼히 분석해 불량 가능성과 부품 교체 여부 등을 감지하는 것. 정확도가 99%에 육박하고, 문제가 있는 부품을 걸러내는 데 걸리는 시간은 20%나 줄었다. 아이플라이텍 관계자는 “의사가 청진기로 검진하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설명했다.

안후이성 허페이에 있는 아이플라이텍 연구개발(R&D)센터에선 자체 개발한 AI 추론 모델 ‘쉰페이싱훠 X1’을 현실에 적용하는 프로젝트 개발이 한창이었다. 학생이 작성한 시험 답안지를 스캔하면 AI가 채점은 물론 논리력, 창의력 등 분야별 점수와 코멘트를 달았다. 돤다웨이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쉰페이싱훠 X1의 실력은 오픈AI와 딥시크에 뒤지지 않는다”며 “교육, 의료, 사법 등으로 적용 범위를 넓혀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이플라이텍의 고속 성장을 이끈 뒷배는 중국 정부다. 공공 데이터를 마음껏 쓸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한 덕분에 음성인식은 물론 AI 학습 속도를 끌어올릴 수 있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3월 해외 클라우드에 데이터를 옮기거나 해외 데이터를 국내에 반입할 때 적용했던 까다로운 심사를 없애준 조치는 중국 테크기업에 날개를 달아줬다. “데이터 규제를 풀어줘야 AI 개발에 속도를 낸다”는 기업들의 호소를 정부가 받아들인 덕분에 중국 기업의 AI 데이터 확보 속도는 30% 이상 빨라졌다. 중국 테크기업들이 공산당을 산업 생태계의 감독자가 아니라 ‘촉진자’로 여기는 이유다.세계 최고 얼굴인식 기업으로 성장한 센스타임도 아이플라이텍과 비슷한 성장 과정을 거쳤다. 정부의 공공 데이터 개방으로 100억 건이 넘는 이미지와 영상을 학습하고, 연간 400억 회 이상 인식·분석 요청을 처리할 만큼 방대한 데이터 기반을 구축했다. 테크업계에서 데이터 확보 건수는 곧바로 기술 경쟁력이 된다. 제프 시 센스타임 아시아태평양 대표는 “센스타임은 최근 글로벌 멀티모달 모델 순위에서 구글과 오픈AI 등을 제치고 1위에 올랐다”고 했다.

센스타임은 방대한 데이터를 앞세워 36개 공항과 지하철에서 얼굴인식 입·출입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딥페이크 사기를 막는 신원 확인 솔루션으로 쓰인다. 단순히 사람과 차량, 사물을 인식하는 것을 넘어 도시 관리와 교통 시스템 제어, 빌딩 관리 등에도 활용되고 있다. 센스타임의 ‘비전AI’는 CCTV, 각종 센서, 교통 신호 체계를 연계해 도시 전역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한다. AI와 연계된 CCTV가 교통사고를 포착하면 곧바로 경찰 출동을 요청하기 때문에 사고 대응 시간이 50% 단축됐다. 비전AI는 현재 200개 도시, 3만 개 건물, 2억5000만 대 기기에 도입됐다.

업계에선 중국의 ‘선(先) 시행·후(後) 규제’ 정책을 테크 굴기를 부른 마법으로 풀이한다. 14억 인구가 쏟아내는 각종 개인정보를 기업들이 쓸 수 있도록 허용하되 문제가 생기면 추후 규제하는 방식이다. 자율주행, 헬스케어, e커머스가 이 정책 덕분에 순식간에 세계 최고 수준으로 올라섰다. 유비테크의 휴머노이드 ‘워커S1’이 단숨에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갖춘 건 베이징시의 배려로 자동차 품질검사 라인에 투입돼 수많은 데이터와 실전 경험을 빠르게 축적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중국 기업들이 하루라도 빨리 AI 서비스를 출시할 수 있도록 보안성 평가 규제를 대폭 완화해준 덕분에 전자상거래 기업 징둥닷컴은 신속하게 기업용 대규모언어모델(LLM)을 내놓을 수 있었다. 생성형 AI 플랫폼 기업을 운영하는 한 중국 기업인은 “과거에는 ‘이걸 해도 되나’를 생각했지만, 지금은 ‘이걸로 무얼 할까’를 고민한다”고 말했다.

항저우=신정은 기자/허페이=김은정 특파원/라현진 기자 newyearis@hankyung.com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