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선박 시장은 新먹거리"
국내 해운업계가 2030년부터 연간 1조4000억원에 달하는 탄소요금 폭탄을 맞을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15일 기후솔루션에 따르면 국제해사기구(IMO) 특별회기가 14일(현지시간)부터 영국 런던에서 열려 해운 탄소요금제(넷제로 프레임워크) 도입 여부가 결정될 예정이다. 이번 제도는 선박 연료의 온실가스 집약도(GFI)를 기준으로 감축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선박에 탄소요금을 부과하고, 목표를 달성한 선박에는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구조로, 해운 분야 첫 ‘탄소세 시장’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관세와 비자 제한까지 거론하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으나, 제도 도입은 확실시되는 분위기다. 유럽과 미국 내 해운업계, 기후단체 등에서는 제도 채택을 지지하는 여론이 확산되고 있어서다.
기후솔루션에 따르면 해당 제도 시행 시 국내 해운사들은 2030년 연 1조4000억원 규모의 탄소요금을 부담할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조기 전환에 성공할 경우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고, 조선업은 무탄소(ZNZ) 연료 기반 친환경 선박 발주 급증으로 새로운 경쟁력을 확보할 기회라는 분석도 나온다.
기후솔루션은 "한국 정부는 이미 ‘2050 국제해운 탄소중립’을 선언한 만큼, 이번 특별회기에서 중기조치 채택에 찬성표를 던지고 조선·해운사 규제 대응 지원정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