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한발 물러섰는데…더 세게 밀어붙이는 中

김은정 기자
입력
수정 2025.10.15. 오전 1:17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상무부 "싸우면 모두 다친다" 경고
대두 수입 거론하며 압박 이어가
중국의 한화오션 미국 자회사 제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해치려는 게 아니라 도우려는 것”이라고 한 지 하루 만에 나왔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한국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트럼프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만날 것이라고 밝힌 직후다. 미국은 중국에 잇따라 유화적인 메시지를 내고 있지만 중국은 계속 미국을 압박하는 형국이다.

베선트 장관은 13일(현지시간) 폭스비즈니스 인터뷰에서 미·중 관계에 대해 “우리는 상당한 수준으로 (긴장을) 완화했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에서 시 주석을 만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산 제품에 부과하는 100% 추가) 관세가 11월 1일 전에는 발효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고 강조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강화에 발끈해 시 주석과의 만남을 취소할 수 있다고 했지만 회담이 예정대로 이뤄질 것이라고 못박은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도 전날 “그(시 주석)는 자국이 불황에 빠지는 것을 원하지 않으며, 나 역시 마찬가지”라며 한발 물러서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면서 “중국과 잘될 것”이라고 했다.

중국은 여전히 강경 모드다. 중국 상무부는 홈페이지를 통해 “(미·중) 양국은 경제·무역 협상 메커니즘 틀 안에서 계속 소통을 유지하고 있고, 어제도 실무진 회담을 했다”면서도 “협력하면 모두에 이롭고 싸우면 모두가 다친다”고 경고했다.

대미 무역 협상 카드로 부상한 대두(콩)도 전면에 내세웠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이날 중국의 올 9월 대두 수입량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것을 거론하며 “관세 압박 속에서 중국과 중남미 국가 간 무역 관계가 강화되고 있다는 상징”이라며 “무역 다각화 가능성을 입증했다”고 평가했다. 미국 외에 다른 지역에서 대두 수입을 늘리고 있다고 미국을 압박한 것이다.

베이징=김은정 특파원 kej@hankyung.com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세계,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