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맹수도 '더피'도 될 수 있다"
"AI 활용 공동 규범 마련해야"이재명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유엔안전보장이사회 공개 토의를 주재하면서 “명과 암이 공존하는 인공지능(AI) 시대의 변화를 기회로 만들 방법은 국제사회가 단합해 ‘책임 있는 이용’ 원칙을 바로 세우는 것뿐”이라고 말했다. 한국 정상이 유엔 안보리 공개 토의를 주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이 올해 안보리 의장국을 맡은 데 따른 것이다.
이 대통령은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안보리 공개 토의에서 ‘AI와 국제평화·안보’를 주제로 채택하고 의사봉을 두드려 토의 시작을 알렸다. 이 대통령은 “AI라는 우리 앞의 새끼 호랑이는 우리를 잡아먹을 사나운 맹수가 될 수도 있고,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 나오는 사랑스러운 ‘더피’가 될 수도 있다”고 했다. 국제사회가 AI 전환 대응을 위해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발언이다.
AI의 부작용도 언급했다. 이 대통령은 “변화에 대비하지 못한 채 끌려간다면 극심한 기술 격차가 ‘철의 장막’을 능가하는 ‘실리콘 장막’으로 작동해 세계적으로 불평등과 불균형을 심화시킬 것”이라며 “허위 정보가 넘쳐나고 테러, 사이버 공격이 급증하는 디스토피아의 미래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도 “AI 기술력이 곧 국력인 시대에 과거 ‘러다이트 운동’(기계 파괴 운동)처럼 기술 발전을 역행하는 일은 가능하지도, 현실적이지도 않다”고 강조했다.
뉴욕=한재영/김형규 기자 jyhan@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한국경제 주요뉴스해당 언론사에서 선정하며 언론사(아웃링크)로 이동합니다.
-
QR을 촬영해보세요. 한경 구독하고 밀리는 덤으로 Get하자!
-
QR을 촬영해보세요.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3
한국경제 헤드라인
더보기
한국경제 랭킹 뉴스
오전 1시~6시까지 집계한 결과입니다.
더보기
함께 볼만한 뉴스
5
이슈 NOW
언론사에서 직접 선별한 이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