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선 車산업 1년간 일자리 5만개 사라져
미국의 수입차 관세인상이 슈퍼카 람보르기니는 물론 자동차 강국인 독일 고용 시장에도 타격을 주고 있다. 콧대 높던 슈퍼카 람보르기니의 소비자들이 구매 결정을 늦추고 있고, 독일에선 1년간 5만여명의 일자리가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스테판 윙켈만 람보르기니 최고경영자(CEO)는 26일(현지시간) 미 CNBC와 인터뷰에서 "미국의 많은 소비자들이 더 안정적인 관세율을 기다리고 있다"며 "람보르기니는 '메이드인 이탈리아'가 브랜드의 핵심이기에 미국에서 생산할 순 없다"고 말했다. 그는 "부유층도 가격 인상에 민감하다"며 "자유 무역이 올바른 접근 방식이지만, 현실적으로 우리는 어떤 상황이 닥치든 해결할 준비가 되어있다"고 덧붙였다.
람보르기니 차량의 미국 내 판매 가격은 최소 40만달러(약 5억5800만원)부터다. 유럽연합(EU)은 최근 미국과 27.5%의 자동차 관세를 15%로 낮추기로 합의했지만, 아직 인하된 관세가 적용되지 않고 있다. 이에 앞서 람보르기니는 하반기부터 일부 차종의 미국 내 판매 가격을 7~10% 인상하겠다고 밝힌 상황이다. 다만 람보르기니는 주문 후 인도까지 통상 1~2년 걸리는 만큼 아직 많은 주문이 밀려있어 현재 수요 감소에 즉각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윙켈만 CEO는 설명했다.
자동차 강국인 독일의 상황도 좋지 않다. 글로벌 컨설팅 업체 언스트앤영(EY)에 따르면 올해 6월까지 지난 1년 동안 자동차 산업에서 줄어든 일자리가 5만1500개에 달한다. 지난 1년 간 독일 전체 인력 감축 규모가 11만4000개인데 절반이 자동차 산업에서 발생했다는 의미다. EY는 독일 자동차 업계 전체 종사자의 약 7%가 일자리를 잃었다고 추산했으며 "다른 어떤 산업 부문도 이렇게 큰 고용 감소를 기록한 적이 없다"고 평가했다.
독일 자동차 산업은 이미 전기차 전환에서 중국 기업들과의 경쟁에 뒤처지고 있다는 평가다. 이 상황에서 미국의 관세 폭탄까지 겹치며 충격을 받은 것이다. 올해 상반기 독일 자동차·부품의 대미 수출은 전년 대비 8.6% 급감했다.
대표적으로 폭스바겐이 지난해 10월 경영 부진으로 독일 직원 12만명 중 3만5000명을 2030년까지 줄이기로 한 데 이어 아우디가 올해 3월 2029년까지 최대 독일 내 7500개 일자리를 줄이겠다고 밝혔다. 완성차의 감원이 이어지면서 부품사들도 영향을 받고 있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