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룡건설 시공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 BIM 어워즈 건설분야 대상

최아영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전 과정에 BIM 적용하며 고평가
BIM 모델 구축 이미지. 계룡건설 제공

[파이낸셜뉴스] 계룡건설은 23일 자사가 시공한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가 BIM 어워즈 2025에서 올해 최고의 건설분야 BIM 프로젝트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BIM 어워즈는 빌딩스마트협회가 2009년부터 매년 개최해 온 국내 대표 공모전으로, BIM 기술의 우수 활용 사례를 발굴하고 시상하는 행사다. BIM은 3차원 모델과 건설정보를 결합해 설계부터 시공, 유지관리까지 전 과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첨단 기술로, 효율적이고 정밀한 건설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솔루션으로 평가받는다.

일반부문 건설분야 대상에 선정된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는 기술제안 단계부터 실시설계, 시공·준공까지 전 과정에 BIM을 적용해 원스톱 통합관리 체계를 구축했다. 이를 통해 특화 설계 관리, 공사 기간 단축, 시공 품질 향상, BIM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운영관리 효율성까지 확보하며 높은 평가를 받았다.

계룡건설은 BIM 기술을 설계와 시공 전반에 적극 도입해 왔다. 설계 오류를 사전에 검토하고 공정 간 충돌을 최소화하며, 시공 리스크를 줄이는 등 스마트 건설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계룡건설은 세종충남대병원, 평택예술의전당, 행복도시 6-3 UR1·2 공공주택, 나라키움 대전통합청사 등 주요 프로젝트에 BIM을 적용해왔다. 2024년 BIM 관련 어워즈에서는 평택예술의전당이 우수상을, 2020년에는 ‘의정부고산 S3블록’이 최우수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현재도 방위사업청사, 충남국제전시컨벤션센터, 국립도시건축박물관, 고양장항 S1 아파트, 세종 5-1 L5BL 아파트, 송파 창의혁신 공공주택, 월곶~판교 복선전철 제10공구, 구리갈매 공공하수처리시설 등 다양한 현장에 BIM을 적용하며 디지털 기반의 스마트 건설 역량을 확대해 가고 있다.

계룡건설 관계자는 "BIM은 단순한 3D 모델링을 넘어 건설물의 전 생애 주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핵심 기술"이라며 "축적된 기술력과 시공 노하우를 기반으로 스마트 건설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더욱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시상식은 오는 28일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열리는 빌드스마트 컨퍼런스 2025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