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해군, 5년간 60억원 '편법 결제' 적발..단말기 들여와 '셀프 결제' 의혹도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부승찬 민주당 의원 확보한 해군본부 자료
반복된 경고에도 해군 정부구매카드 상습 분할결제
국고금관리법·해군본부 지침 위반
업체 단말기 무단 반입해 '셀프결제'도
육군·공군·해병대는 시정..해군만 '無반성'
부승찬 "기본 원칙조차 어겨..시정돼야"
9월 26일 부산 인근 해상에서 '2025 대한민국 해군 관함식'의 백미인 해상사열이 펼쳐지고 있다. 해상사열에는 해군의 이지스구축함(DDG)과 3000t급 잠수함(SS-Ⅲ), 대형수송함(LPH), 상륙함(LST-Ⅱ) 등 함정 31척을 비롯해 해군·해병대, 육·공군, 해경 항공기 18대, 무인수상정과 무인항공기 등 수상과 공중에서 대규모 전력을 선보였다.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2018년 11월 12일, 해병대1사단 포항체력단련장은 '페어웨이 잔디깎이 수리교체'를 위해 정부구매카드로 543만원을 결제했다. 297만2000원, 245만8000원씩 총 두 번에 걸쳐 분할 결제한 것이다. 이들은 2017년 5월 30일 '보조원 하복(상하의, 모자 등)' 구매를 위해 1183만5000원을 3차례에 걸쳐 결제하기도 했다. 포항체력단련장에는 골프장이 구비돼 있다.

#2025년, 해군 군수사 보급창 급양대대는 업체가 갖고 있어야 할 카드단말기를 무단 반입해 보관 중이던 함정별 정부구매카드로 '셀프 결제'했다.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형법 제137조)' 혐의를 받아 해군본부 감찰실로부터 해군수사단에 수사요청서가 제출된 상태다.

해군 산하 기관들이 최근 5년간 정부구매카드를 상습적으로 '편법 결제'해 법령을 어긴 것으로 확인됐다. 2019년부터 감사에서 경고 조치를 받았지만 여전히 이를 시정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군이 혈세 사용의 기본 원칙조차 지키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3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부승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해군 산하 기관들은 2016년부터 올해까지 상습적으로 정부구매카드를 '분할 결제'한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구매카드란 효율적이고 투명한 국가 재정관리를 위해 국가 기관이 업무 관련 지출에 사용하는 카드다. 국고금관리법과 해군본부 정부구매카드 운영지침에 따라 해당 카드로 지출할 수 있는 경비의 한도는 건당 500만원이다. 500만원 초과 시 계약체결을 통해 지출하도록 명시돼 있다.

해군 한 기관에서 업체의 카드단말기를 무단 반입해 '셀프 결제'한 의혹을 받고 해군수사단에 수사요청서가 제출됐다. 제공=부승찬 의원실
그러나 해군 기관들은 정부구매카드를 '분할 결제'해 규제를 회피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날, 같은 장소에서 500만원이 넘는 규모의 물품을 구입하더라도 500만원 이하로 여러 차례 나눠 결제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2022년 12월 1일 해군 1함대사령부는 같은 주유소에서 총 1300만원 어치의 경유를 3차례에 걸쳐 구매했다. 450만원씩 2차례, 400만원 1차례로 분할해 결제한 것이다. 500만원 초과시 계약을 체결해야 하지만 편법을 통해 회피한 것이다. 한 해 동안 식품 업체에서 9억2600만원 어치의 새우볶음밥 등 식품을 712건 거래한 경우도 확인됐다.

육군과 공군은 2021~2024년 정부구매카드 분할 결제로 지적을 받은 사항이 없고, 해병대는 2024년부터 분할결제 내역이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해군의 2019~2024년 분할 결제와 관련한 처분요구서가 매년 제출됐다. △2020년 5527만원 △2021년 6586만원 △2022년 58억5366만원 △2023년 4389만원 △2024년 1억6779만원 규모의 분할 결제 내역이 적발됐다.

혈세를 투입하는 국가 기관들에서 투명성 확보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상민 나라살림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분할 결제가 편법인 만큼 투명한 행정을 가로막는 잘못된 관행"이라며 "아무런 노력도 하지 않는 기관이 있다면 투명성을 확보함으로써 관행을 없애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부승찬 의원은 "수년간 반복된 감사 지적에도 국고금 관리의 기본 원칙조차 지키지 않고 있다"며 "이는 해군의 내부 통제시스템이 사실상 기능을 상실했다는 것으로 반드시 시정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승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세미나실에서 열린 군인복무기본법 개정 토론회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뉴시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