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 구인공고는 취업사기 수단"…고용노동부, 민간과 공동 감시체계 만든다

김준혁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권창준 차관, 민간 채용플랫폼 간담회
잡코리아·사람인·원티드 등 주요 플랫폼 참여
거짓구인광고 통합시스템 구축
사후 모니터링 시스템 강화
권창준 고용노동부 차관이 22일 서울고용노동청에서 열린 '안전한 채용환경 조성을 위한 채용플랫폼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고용노동부 제공
[파이낸셜뉴스] 고용노동부가 잡코리아·알바몬, 사람인, 원티드랩 등 민간 채용플랫폼과 함께 거짓구인광고 공동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에 나선다. 최근 캄보디아 취업사기 사태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허위·과장 구인광고에 대응하기 위해 공공·민간 협업체계를 마련하겠다는 내용이 핵심이다.

권창준 고용노동부 차관은 22일 서울고용노동청에서 열린 '안전한 채용환경 조성을 위한 채용플랫폼 간담회'에서 민간 채용플랫폼과 이 같은 방안을 논의했다. 간담회에는 한국직업정보협회, 잡코리아·알바몬, 사람인, 인크루트, 잡플래닛, 원티드가 참여했다.

한국직업정보협회는 허위 구인광고 기반 취업사기 피해 예방책으로 △공공·민간 거짓구인광고처리 통합시스템 구축 △사회초년생 대상 취업 주의사항 교육 △구인공고 사후 모니터링 시스템 강화 등을 제시했다.

고용노동부는 범부처 차원의 협업체계를 토대로 민간 채용플랫폼과 정기점검 및 공동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운영할 계획이다.

권 차관은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들에게 구인공고는 노동시장과의 첫 연결고리라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지만, 검증되지 않은 정보와 허위 구인공고는 순식간에 범죄의 수단이 될 수 있다"며 "고용노동부도 외교부, 경찰청 등 관계부처와 협업해 구인정보를 통한 구직자의 범죄 피해를 예방하고, 민간 채용플랫폼과 협력해 안전하고 투명한 채용환경을 조성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점점 더 지능화하고 있는 허위나 과장 광고를 보다 신속히 식별하고 차단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AI) 기반 탐지 기술 마련, 신고 연계 시스템 구축 등 구인공고 모니터링 방식을 고도화하는 방안도 같이 모색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올해 국정감사에선 캄보디아 사태를 계기로 정부의 부실한 구인광고 및 취업사기 사전·사후관리체계가 도마에 오르기도 했다. 모니터링 조직·인력·예산·기술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