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코인 도입안 막바지 조율… 연내 발표"
"가상자산 상장, 공적규제 전환" 금융위원회가 가상자산거래소의 상장 업무를 현행 자율규제에서 공적규제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주식시장 수준의 가상자산 발행·공시 및 상장종목 수시공시를 통해 거래 투명성을 높이고 투자자 보호를 더욱 강화한다는 목표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20일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국정감사 업무보고를 통해 "스테이블코인 규율을 포함해 사업자, 시장, 이용자를 아우르는 '가상자산 2단계 법안'을 마련 중"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미국, 일본, 유럽연합(EU) 등 주요국 중심으로 스테이블코인 등 가상자산 제도화가 이뤄지고 있는 만큼 규율체계 마련에 속도를 낸다는 입장이다.
금융위는 우선 가상자산 거래소 상장 업무 규제와 관련 △상장·폐지 기준 △거래 정지·해제 △공시사항 등을 포함한 상장규정 마련 의무를 부과할 계획이다. 이는 상장심사 부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다. 앞서 금융위는 지난 5월 신규 거래지원(상장) 후 가격 급변동(상장빔) 현상 등을 방지하기 위해 '거래지원 모범사례 개정안'을 발표한 바 있다. 상장빔을 막기 위해 매매 개시 전 최소 유통량 확보 의무를 부과하고, 매매 개시 후에는 일정 시간 시장가 주문을 제한하는 내용이 핵심이다. 거래지원 모범사례 개정안 내용이 2단계 법안에 반영될 가능성이 높다.
2단계 입법안에는 상장규제 공적 전환 이외에도 여러 핵심내용이 담겼다. 현재 법적 용어인 '가상자산'을 '디지털자산'으로 변경하고, 분산원장 개념을 추가해 정의를 명확히 할 계획이다.
사업자의 업무범위는 가상자산거래소, 매매업자, 보관·관리업자 등으로 세분화하고, 선행매매 금지 등 기본적인 영업행위 규제를 신설할 예정이다.
스테이블코인 규율체계도 연내 발표할 예정이다. 이 위원장은 스테이블코인 도입 관련, "제도 설계 초기 단계인 만큼 충분한 안전장치를 갖고 가는 게 중요하다는 인식 하에 관계부처와 꼼꼼히 짚어보고 있다"며 "막바지 조율 단계"라고 밝혔다.
금융위는 스테이블코인 발행인 인가제를 도입하고, 예금과 국채 등 고유동성 자산으로 100% 이상을 보유하도록 준비자산 운용규제를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이용자 상환권 보장과 테더·서클 등 해외 스테이블코인 규율체계도 함께 마련할 방침이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IT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파이낸셜뉴스 주요뉴스해당 언론사에서 선정하며 언론사(아웃링크)로 이동합니다.
3
파이낸셜뉴스 헤드라인
더보기
파이낸셜뉴스 랭킹 뉴스
오후 5시~6시까지 집계한 결과입니다.
더보기
함께 볼만한 뉴스
5
이슈 NOW
언론사에서 직접 선별한 이슈입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