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다 남은 거 줬나?"..제주 1만5000원 오징어에 관광객 '분노'

문영진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한 관광객이 제주 올레시장에서 구매한 철판 오징어 모습. /사진=온라인커뮤니티


[파이낸셜뉴스] 제주 올레시장에서 판매된 철판오징어가 가격에 비해 양이 적다는 소비자의 제보가 나와 또 한 번 '바가지 논란'이 불거졌다.

20일 온라인 커뮤니티에 글을 올린 A씨는 "제주 서귀포시 올레시장 내 한 상점에서 철판오징어 중자 메뉴를 구입했다가 황당한 일을 겪었다"고 토로했다.

A씨는 "불 쇼로 시선을 끌며 시끄럽게 장사하던데, 막상 받아보니 오징어를 반만 준 것 같았다"며 "관광객이 많은 곳에서 양심을 팔며 장사한다"고 비판했다.

이어 "먹다 남긴 게 아니고, 숙소에 도착해 열어본 그대로의 상태다. 다른 분들은 꼭 앞에서 포장을 열고 확인하라"고 당부했다.

A씨가 공개한 사진에는 종이상자 한쪽에 마요네즈 자국과 오징어 다리 몇 개가 담긴 모습이 찍혀 있었다.

이를 본 누리꾼들은 "몸통은 다 먹고 다리 몇개 준거냐", "영화관 오징어보다도 양이 적다", "한번 오고 말 관광객이라고 생각하니 저렇게 파는 것", "관광객을 호구로 아는 제주", "양파 같은 제주"라며 분노했다.

한 누리꾼은 "제주도가 삼다도인 이유는 ‘중국인, 바가지, 비계 돼지’ 때문"이라고 비꼬기도 했다.

한편, 제주도 부실 먹거리 논란은 잇달아 발생하고 있다.

지난 18일 제주도 서귀포를 방문한 B씨는 '비계 목살'을 폭로하며 온라인커뮤니티에 사진을 게재했다. 그가 올린 사진에는 주문한 목살에 비계만 절반이 붙어있었다. 함께 나온 오겹살 역시 마찬가지였다. B씨는 "2년에 한 번씩은 제주 여행하러 왔는데 다시는 안 올 것 같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또한 지난 10일 '탐라문화제'에서는 밥만 가득한 ‘4000원 김밥’이 논란이 됐다. 제주시 관계자는 "상인이 아닌 마을 부녀회가 판매한 것으로 폭리를 취하려 한 것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