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주째인데 37%뿐"... 국정자원 화재 복구 지지부진
1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전체 709개 시스템 중 오후 3시 기준으로 264개(37.2%)만 복구됐다. 이날 새로 작동을 재개한 시스템은 문화체육관광부의 시군구행정 포털과 코리아넷 집배신, 고용노동부의 배우리시스템 등이다.
등급별로는 최우선인 1등급 40개 중 30개(75.0%)가, 2등급 68개 중 35개(51.5%)가 돌아왔다. 3등급은 261개 중 115개(44.1%), 4등급은 340개 중 84개(24.7%)가 제 기능을 찾았다. 하지만 핵심인 1·2등급에선 전날 밤 9시 이후 추가 복구 실적이 전무했다.
아직 1등급 중에선 국가보훈부의 통합보훈, 국민권익위 국민신문고,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등 3곳과 행정안전부 산하 7개 서비스(공공데이터포털·국민비서 홈페이지·국민비서 알림·안전디딤돌·재난관리 통합상황관리·문서24·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 등 총 10개가 먹통이다.
이재용 국정자원 원장은 13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에서 "분리된 전산실 가운데 복구 가능한 곳은 거의 끝냈고, 지금 남은 건 5층 7·7-1·8전산실과 연결된 시스템들"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8전산실은 전기와 환경이 갖춰져 그 구역을 중심으로 작업 중"이라며 "전날 밤 이후 복구 숫자엔 큰 변화가 없지만 앞으론 조금씩 늘 것"이라고 전했다.
정부는 주말 동안 기존 700여명에 더해 제조사 인력 80여명을 추가 투입하며 복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대본에 따르면 국정자원 대전 본원 1∼6전산실에 있던 행정 시스템 중 5층 화재와 무관한 것들은 지난 5일 모두 돌아왔다.
8전산실의 경우 먼지 제거와 전원 공사가 11일 마무리돼 전기 공급이 다시 시작됐다. 대전 본원은 2∼5층에 총 9개 전산실로 이뤄져 있으며, 이 중 5층엔 7·7-1·8 전산실이 자리한다. 실제 불은 7-1전산실에서 났지만 옆 78 전산실도 먼지와 연기 피해를 입었다.
김민재 중대본 제1차장(행안부 차관)은 "(8전산실은) 여러 시스템이 7전산실 장비를 쓰고 있어 당장 복구는 어렵다"며 "7전산실 장비에 저장된 데이터 등을 먼저 살린 뒤 시스템도 차례로 되살리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5층 7·7-1전산실과 엮인 미복구 시스템은 백업 자료와 기존 체계를 활용해 복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특히 7·7-1전산실 시스템은 장비 수급 여건 등을 감안해 대구센터로 옮기거나 대전센터 내 다른 전산실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살릴 예정이다.
데이터 복구 상황에 따라 전소된 시스템 이전·구축 시점도 달라질 전망이다. 이 원장은 "데이터 복구는 원래 쓰던 장비를 고칠 수 있으면 빠를 수 있고, 안 되면 백업 자료로 해야 해서 시간이 더 걸릴 수 있다"며 "장비 먼지 제거, 점검, 문제 부품을 고쳐가며 복구 중이라 상황은 바뀔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차장은 "협의 중 늘어날 가능성은 있지만 현재 기준 대구센터 이전 대상 20개를 뽑았다"며 "일부는 민간 클라우드사, 소관부처와 협의를 끝내 이전을 시작했다"고 전했다. 민간 클라우드 협력사는 NHN, KT클라우드, 삼성SDS 등 3곳이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기자 프로필
파이낸셜뉴스 주요뉴스해당 언론사에서 선정하며 언론사(아웃링크)로 이동합니다.
3
파이낸셜뉴스 헤드라인
더보기
함께 볼만한 뉴스
5
이슈 NOW
언론사에서 직접 선별한 이슈입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