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복구 속도전…"안전·보안·신뢰 3대 원칙 지켜야"

안승현 기자 TALK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행정안전부는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피해 복구를 위해 3대 원칙을 세우고 본격적인 복구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이날 오전 9시 기준 전체 709개 마비 시스템 중 260개가 복구돼 36.7%의 복구율을 기록했다. 5층 8전산실의 전기 공급이 재개되면서 복구가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은이날 서울 정부청사에서 중대본 회의를 열고 "8전산실 전기 공급이 재개됐으니 이제 복구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밝혔다.

윤 본부장은 "앞으로 안전과 보안, 신뢰라는 3대 원칙에 따라 복구를 진행하겠다"며 "신속하면서도 성공적인 복구를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강조했다.

국정자원 대전 본원은 2∼5층에 총 9개 전산실로 구성됐다. 5층에는 7·7-1·8 전산실이 자리잡고 있으며, 실제 화재는 7-1전산실에서 일어났다.

하지만 인접한 7전산실과 8전산실도 연기와 분진 피해를 입었다. 5층 전산실 시스템이 2∼4층 전산실과 상호 연계돼 있어 5층 복구 지연이 다른 층 정상화에도 걸림돌이 되고 있다.

7전산실은 심각한 분진 피해를 입어 현재 스토리지(데이터 저장장치) 분진 제거 작업이 한창이다. 7-1전산실은 완전 소실돼 공주센터로 옮긴 데이터를 바탕으로 복구를 추진 중이다.

반면 피해가 상대적으로 적은 8전산실은 분진 제거가 끝나 전기 공급이 다시 시작됐다.

윤 본부장은 "복구 작업 전 과정에서 안전 관리 체계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며 "전력 공급부터 장비 가동, 전산실 작업까지 모든 단계의 위험 요인을 빠짐없이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국정자원은 핵심 정보통신 기반시설인 만큼 복구 과정에서 보안사고가 단 한 건도 발생해선 안 된다"며 "출입 통제에서 데이터 접근까지 전 과정에서 엄격한 보안 원칙을 지키겠다"고 덧붙였다.

또 "국민과 기업, 지방자치단체는 정부 시스템이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돌아갈 것이라는 믿음을 바탕으로 일상생활을 이어가고 있다"며 "앞서 장애 시스템 수를 709개로 정정한 것도 복구 과정을 국민께 자세히 알려드리기 위한 조치였다"고 설명했다.

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기준 화재로 멈춘 행정 정보 시스템 709개 가운데 260개가 복구됐다. 전체 복구율은 36.7%다.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1등급 시스템 40개 중에서는 30개가 정상화돼 75%의 복구율을 보였다.

우체국 쇼핑과 차세대 종합 쇼핑몰 등 전자 거래 시스템이 복구됐으며,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시스템도 정상 작동하고 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