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쿠폰 풀었지만...4·4분기 소매유통 경기 전망 다시 꺾임세

조은효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대한상의, 500개 소매유통업체 조사
3·4분기 102에서 4·4분기 87로 하락
8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들.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4·4분기 소매유통업계 경기 전망이 다시 꺾임세다. 정부의 민생소비쿠폰 발행 등으로 3·4분기 반짝 회복세를 나타냈으나, 내수 부진의 골을 메우기엔 역부족이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대한상공회의소는 500개 소매유통업체를 대상으로 소매유통업 경기 전망지수(RBSI)를 조사한 결과, 지난 3·4분기 102에서 4·4분기 87로 하락했다고 8일 밝혔다.

RBSI는 유통기업의 경기 판단과 전망을 조사해 지수화한 것으로 기업의 체감경기를 나타낸다. 100 이상이면 '다음 분기 경기를 지난 분기보다 긍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많다'는 의미이고, 100 미만이면 그 반대다. 대한상의는 "경기 둔화와 내수 부진 지속, 업태 간 경쟁 심화 등 복합적 요인으로 인해 4·4분기 전망치가 상승 흐름을 이어가지 못했다"고 해석했다.

업태별로 보면 백화점(103)만 유일하게 기준치를 웃돌았고, 온라인쇼핑(87), 슈퍼마켓(83), 편의점(83), 대형마트(81)는 모두 기준치를 하회했다. 백화점(103)은 연말특수와 더불어 최근 주식시장 반등에 따른 자산 효과 등으로 고급 상품군 소비를 자극하며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대형마트(81)는 부진한 흐름이 지속됐다. 온라인·슈퍼마켓과의 치열한 가격 경쟁에 더해 소비쿠폰 사용처에서 제외된 점이 부담 요인으로 지목됐다. 온라인쇼핑(87)도 불과 한 분기 전(105)과 비교해 급락했다. 업계 경쟁 심화, 중국계 플랫폼의 저가 공세 등이 전망을 끌어내렸다. 슈퍼마켓(83)과 편의점(83)도 온라인 장보기, 가격경쟁 심화, 인건비 심화 등으로 전 분기(108) 대비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박경도 한국유통학회장은 "근본적인 소비 심리 개선을 위해서는 중소 유통의 디지털 전환 지원과 글로벌 표준에 맞는 규제 혁신,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 등을 통한 성장 잠재력과 소비 여력 확충이 중요하다"고 제언했다. 이희원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4·4분기 경기 전망지수가 부정적으로 전망됨에 따라 이를 반전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중요하다"면서 "오는 29일부터 11월 9일까지 열리는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은 내수 진작과 함께 소비 심리를 회복하는 데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