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 차단했다는데 배터리 발화?"... 국정자원 화재 원인 '미스터리' 집중

안승현 기자 TALK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지난 28일 국과수 요원들이 화재가 완진된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현장으로 향하고 있다.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대전경찰청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사건과 관련해 최초 발화 의심 배터리에 대한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감식에 착수했다.

경찰은 29일 안정화 작업을 마친 배터리 3개를 국과수로 보내 발화 흔적 여부를 중점 확인할 방침이다. 전담수사팀은 배터리 이전 과정의 안전조치 미비나 배터리 자체 결함 등을 집중 조사 중이다.

대전경찰청에 따르면 경찰은 이날 오후 무정전·전원(UPS)용 리튬이온배터리 6개 중 3개를 국과수로 보내 정밀 감식을 의뢰했다.

경찰은 화재 현장 전산실에서 최초 발화 의심 지점으로 지목된 배터리 6개를 반출한 뒤 수조에 담가 잔류전류를 제거하는 안정화 작업을 진행했다. 이 가운데 잔류전류가 더는 검출되지 않은 3개를 국과수로 보냈으며, 나머지 3개는 여전히 안정화 작업이 진행 중이다.

경찰은 이들 배터리를 화재 발화부로 판단하고 발화 흔적을 면밀히 확인한다는 계획이다. 현장에서 확보한 공구 등은 현재 국과수 감정이 진행되고 있다.

앞서 경찰은 지난 27일 화재 진압이 완료된 직후 대전경찰청 형사과장을 포함해 20여명으로 구성된 전담수사팀을 꾸렸다. 이날까지 총 3차례에 걸쳐 현장 감식을 실시했으며, 서울청 소속 리튬전지 전담 과학수사요원 3명도 추가 투입돼 배터리 발화 원인과 분리 작업 당시 구체적 상황을 조사하고 있다.

수사 초점은 배터리 이전 작업 중 안전조치 미비나 작업상 실수, 배터리 자체 결함 여부 등으로 맞춰질 전망이다. 경찰은 화재 당일 전산실에 있던 배터리 이전 관련 업체 직원 7명을 27일부터 차례로 소환해 조사했다. 행정안전부는 당시 현장에 13명이 있었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재까지 형사 입건된 인물은 없다.

경찰은 전산실 폐쇄회로(CCTV) 영상도 확보해 분석 중이다. CCTV에는 화재 전후 상황이 담겼으나 정확한 발화 지점을 포착한 화면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따라 국과수 정밀 감식을 통한 발화 지점 확인과 원인 규명이 필수적인 상황이다.

작업자들은 "배터리 전원을 차단한 뒤 작업을 진행했다"고 진술했으나, 배터리가 불에 녹아 육안으로는 확인이 불가능해 감식이 필요한 상태다.

경찰은 국정자원에서 배터리 사업 관련 자료를 임의 제출받아 분석을 진행하고 있으며, 30일에도 현장에서 4차 감식을 이어갈 예정이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