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이전 작업 중 전기 단락이 화재를 일으켰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10년 넘게 사용된 노후 배터리의 안전관리 실태도 수사 초점이다. 정부는 서비스 복구와 함께 재발 방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대전경찰청은 28일 국정자원에서 소방서, 국과수와 함께 2차 합동감식을 벌였다. 전날 초진 선언 이후 계속된 현장 조사에서 핵심 증거물들을 수집해 분석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강재석 과학수사계장은 "전날 확보한 시설 부품들을 즉시 감정 의뢰했다"며 "정밀한 화재 원인 분석을 위해 오늘도 광범위한 현장 감식을 실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경찰은 전산실에서 꺼낸 배터리들의 잔류 전기를 제거하는 안정화 과정을 2~3일간 진행한 뒤 국과수에 정밀 분석을 의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8일 오전부터 시작된 감식 작업은 오후까지 계속됐다. 수사팀은 최초 발화 지점으로 추정되는 구역을 집중 조사하고 있으며, 29일 오전에도 추가 감식을 벌일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대전경찰청은 김용일 형사과장을 팀장으로 하는 20명 규모 전담수사팀을 구성했다. 수사팀은 무정전전원장치(UPS)용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 경위 규명에 수사력을 집중 투입한다.
특히 배터리 관리 소홀이나 안전수칙 위반 여부를 관리 담당자들을 상대로 조사할 예정이다.
행안부와 국정자원은 작업자 13명이 5층 전산실의 서버와 UPS 배터리를 지하로 옮기는 도중 전원이 차단된 배터리 1개에서 불이 났다고 설명하고 있다.
배터리 노후화가 직접 원인이라는 분석과 함께 이전 과정의 작업 미숙이 화재를 촉발했다는 의혹도 제기된다.
행안부에 따르면 화재가 발생한 UPS 배터리는 2014년 8월 설치돼 제조업체 권장 사용기간 10년을 1년여 초과한 상태였다.
행안부는 "관리업체의 정기점검을 받아왔고 해당 점검에서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업계 일각에서는 배터리 전원 차단 후 전선을 분리해야 하는데, 전원을 끄지 않은 상태에서 전선을 뽑아 전기 단락이 생겼을 가능성을 제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