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소 위기→복구 가속화" 배터리 반출 완료로 되살아나는 국정 시스템

안승현 기자 TALK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이 27일 정부세종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에서 열린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관련 중대본 회의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행안부
[파이낸셜뉴스] 국정자원관리원 전산실 화재로 전소된 배터리 384대 중 250여대 반출을 완료하는 등 복구 작업이 빨라지고 있다.

물리적 손상을 받은 96개 시스템은 대구센터로 이전해 재구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정부는 28일까지 네트워크 장비 복구를 마치고 핵심 서비스부터 차례로 정상화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행정안전부는 27일 윤호중 장관 주재로 중대본 회의를 열고 국정자원 대전 본원 전산실 화재 복구에 모든 역량을 쏟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날 중으로 항온항습기를, 28일까지는 네트워크 장비 복구를 완료해 국민 일상과 경제 활동에 필수적인 주요 서비스를 우선 재개한다는 복구 로드맵을 발표했다.

중대본은 과기정통부와 복지부, 교육부 등 장애 시스템 관련 부처와의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상황총괄반·업무연속성반·장애조치반을 운영해 현장 상황 파악과 시스템 복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화재 현장에서 진행되고 있는 배터리 반출 작업으로 복구 속도가 높아지고 있다. 정부는 완전히 탄 배터리 384대 가운데 250여대를 이미 옮겨냈다고 설명했다.

항온항습기와 네트워크 장비 복구가 차례로 이뤄지면 정보시스템 보호를 위해 사전 차단한 행정정보시스템의 재가동 여부를 살펴볼 예정이다.

중대본은 복구 작업이 순조롭게 마무리되면 시스템 보호 차원에서 중단했던 551개 시스템을 단계별로 다시 가동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앞서 화재 열기로 전산실 온도 유지 장치인 항온항습장치가 멈추자, 서버 등 장비 훼손을 우려한 국정자원 측은 대전 본원 내 647개 시스템 전원을 일제히 차단했다.

647개 중 국민이 직접 이용하는 대국민 서비스는 436개이며, 나머지 211개는 공무원 업무용 행정내부망 서비스인 것으로 파악됐다.

시스템 재가동은 화재 손상을 받지 않은 곳부터 시작한다.

국민 안전과 재산, 경제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을 1순위로 재가동하며, 시스템 중요도와 등급별 우선순위에 따라 복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중대본은 처음 화재로 직접 피해를 받은 시스템을 1등급 12개, 2등급 58개 등 70개로 발표했으나, 정밀 점검 결과 96개로 늘어났다고 수정 발표했다.

96개 시스템은 물리적 훼손이 심한 만큼 다른 곳으로 옮겨 복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윤 장관은 "7-1전산실에서 화재 직접 피해를 받은 96개 시스템은 대구센터 내 민관협력형 클라우드 서비스로 이전을 고려하고 있다"며 "전소된 환경에서 복구하는 것보다 이전 후 재설치하는 것이 복구에 더 효과적이라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