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50회→올해 9회" 배터리 화재 급증에도 소방훈련 '급감'

안승현 기자 TALK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충북 옥천에서 리튬이온배터리 폭발. 옥천소방서 제공
[파이낸셜뉴스] 올해 들어 6개월 동안 배터리로 인한 화재가 300건에 육박하며 안전 사각지대가 드러났다. 재산 피해액도 200억원을 훌쩍 넘어서는 등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반면 소방당국의 대응 훈련은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7일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의원(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이 소방청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1~6월 배터리 관련 화재 발생 건수는 296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 359건에서 지난해 543건으로 급증한 추세가 올해도 지속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상반기 실적만으로 작년 전체 건수의 54% 수준에 달해 연말까지는 역대 최고치를 경신할 것으로 우려된다.

인명 피해 규모도 심각하다. 올해 상반기 배터리 화재로 2명이 목숨을 잃었고 21명이 다쳤다.

경제적 손실도 크다. 상반기 재산 피해액만 223억9033만원에 이르렀다. 연간 기준으로 보면 2023년 228억3055만원에서 지난해 260억3742만원으로 계속 늘어나는 추세다.

소방당국의 전문 대응 능력은 뒷걸음질치고 있다. 배터리 화재 관련 훈련 횟수는 2023년 25회에서 지난해 50회로 두 배 증가했지만, 올해 상반기에는 9회에 그쳤다.

위 의원은 "배터리 화재 피해가 갈수록 커지는데도 소방 훈련은 되레 줄어들어 현장 대응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체계적인 안전관리 방안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