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다 다 망해"…'부실 김밥'·'찌꺼기 오징어' 바가지 논란에 제주도 칼 빼든다

임혜린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제주 탐라문화제에서 1줄에 4000원에 판매된 김밥, 온라인 커뮤니티 갈무리

[서울경제]

제주도가 연이은 바가지 논란에 대해 강력한 제재 방안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23일 도에 따르면 지난 21일 열린 제주도의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김대진 더불어민주당 의원(동홍동)은 최근 탐라문화제에서 판매된 '부실 김밥'을 언급하며 "이런 일이 반복되면 제주 관광의 신뢰가 무너진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예전 비계 삼겹살 논란처럼 일부 업소의 일탈이 전체 이미지를 망친다"며 "바가지 요금은 단순한 개인 문제를 넘어 제주경제를 좀먹는 행위"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관광협회가 운영하는 불편신고센터가 더 적극적으로 작동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에 대해 김애숙 제주도 정무부지사는 "민관 합동 회의를 열어 바가지요금 근절 방안을 집중 논의하겠다"며 "필요하면 '원스트라이크 아웃제' 같은 즉각 퇴출 제도도 도입을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바가지 문제가 다시는 반복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제주도는 먹거리 관련 논란이 잇따르며 관광객들의 불만이 폭주하고 있다. 지난 10일부터 나흘간 열린 '탐라문화제'에선 4000원짜리 김밥이 밥만 잔뜩이라는 비판을 받으며 '부실 김밥' 논란을 낳았다.

이어 20일엔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제주 올레시장 철판오징어, 중자 1만 5000원인데 반만 담겨 있었다"는 글이 올라오면서 또다시 공분이 터졌다. 누리꾼들은 "몸통은 다 어디 갔냐", "소자는 오징어 머리만 주는 거냐"며 비판을 쏟아냈다.

제주도는 잇따른 바가지 의혹이 지역 관광 이미지를 훼손하고 있다고 판단, 강도 높은 단속과 재발 방지책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제주를 찾는 관광객들이 신뢰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한편, 제주를 방문한 관광객은 올해 들어 지난 추석 연휴 마지막날인 9일까지 1061만 3183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084만 6623명보다 2.2% 감소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경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