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이 인공지능(AI)과 로봇 자동화로 60만명 이상을 감축하는 초대형 인력 구조조정에 나선다.
21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는 아마존 내부 전략 문서를 입수해 “회사가 2030년까지 사업 운영의 75%를 자동화하고, 최대 60만개의 일자리를 로봇으로 대체하는 계획을 추진 중”이라고 보도했다. 아마존은 미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약 120만명의 고용을 담당하고 있는 기업이다.
보도에 따르면, 아마존의 자동화 팀은 2027년까지 미국 내 16만명의 인력을 로봇으로 대체해 약 30%의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경영진은 “로봇 자동화가 본격화되면 2033년까지 60만명 이상의 인력이 대체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를 위해 아마존 로봇공학팀은 인력이 거의 필요 없고, 운영의 75%를 자동화한 ‘무인 창고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마존은 실업 사태가 지역 사회에 미칠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계획도 구상 중이다. 퍼레이드와 같은 지역 축제·행사에 더 많이 참여해 ‘좋은 기업 이미지'를 만든다는 것이다.
또한 로봇 자동화 추진 과정에서 ‘AI’나 ‘자동화’ 대신 ‘첨단기술’ 혹은 로봇과 인간의 협업을 의미하는 ‘코봇(cobot)’이라는 완화된 표현을 쓰는 방안도 논의하고 있다.
NYT는 이번 계획이 미국 블루칼라(현장 노동자) 일자리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아마존의 창고 근로자 상당수가 흑인 및 유색인종인 만큼 자동화의 충격이 사회적 불평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대런 애쓰모글루 MIT 교수는 “자동화 방법을 찾는 데 아마존만큼 인센티브를 가진 기업은 아무도 없을 것”이라면서 “계획이 성공하면 미국에서 가장 큰 고용주 중 하나가 ‘일자리 창출자’가 아니라 ‘일자리 파괴자’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는 로봇 자동화에 오랫동안 공을 들여왔다. 2012년 로봇 제조업체 ‘키바(Kiva)’를 7억7500만달러(약 1조1000억원)에 인수한 것이 그 출발점이다. 현재는 하키 퍽 모양의 로봇이 창고를 가로질러 제품을 운반하며, 근로자들의 이동 거리를 크게 줄이고 있다.
아마존은 지난해 루이지애나주 슈리브포트에 최첨단 자동화 창고를 열고 실험에 나섰다. 이곳에는 약 1000대의 로봇이 투입돼 전년 대비 인력 고용이 25% 줄었고, 내년에는 인력의 절반을 줄일 목표를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아마존은 버지니아 비치에 신설된 대형 물류센터를 시작으로 2027년 말까지 약 40개 시설에 ‘슈리브포트 모델’을 도입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