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탄소 기술 상용화'에 속도내는 현대건설

강동효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평택서 'CO2 포집·액화 실증시설' 준공식 개최
김재영(왼쪽 다섯번째) 현대건설 기술연구원장과 김태영(왼쪽 여섯번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14일 경기도 평택 수소특화단지에서 열린 '‘CO2 포집·액화 통합공정 실증시설 준공식’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현대건설

[서울경제]

현대건설이 한국형 이산화탄소(CO2) 포집·액화 통합공정 실증시설 건립 등 저탄소 기술 상용화에 속도를 낸다.

현대건설은 전날 경기도 평택 수소 특화단지에서 CO2 포집·액화 실증시설 준공식을 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에 준공한 실증시설은 2022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국책과제 ‘블루수소 생산을 위한 하이브리드 CO2 포집·액화·활용기술 개발’의 결과물로 연구개발과 현장 검증을 거쳐 상용화 가능성을 입증했다.

현대건설은 이번 총괄 주관기관으로 공정 설계·시공·운영 전반을 주도했다. 국내 최초로 습식과 분리막 포집 방식을 결합한 ‘하이브리드형 통합공정’을 완성했으며 이를 통해 수소생산시설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로부터 연간 3만 톤 규모의 CO2를 안정적으로 포집·액화할 수 있는 설비를 구축했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포집 효율 90% 이상, 순도 95% 이상의 고순도 CO2 확보를 실증했고, 포집된 CO2는 액화 과정을 거쳐 액체탄산 및 드라이아이스로 활용하거나 특수가스로 판매하는 등 상업적 활용성을 확보한 것으로 평가된다.

현대건설은 산학연 협업을 통해 국내 기술 자립도도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현대자동차, 롯데케미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맑은환경산업, 에니스, 한국특수가스 등 주요 기업과 대학·연구기관도 공동 참여했다. 국내 주요 기업과 연구기관이 참여해 CO2 포집·활용분야 산업 생태계를 확장하는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2022년 국책과제 착수부터 평택 실증 준공까지 전 과정을 통해 핵심 기술력을 확보한 것은 블루수소 산업과 탄소중립 실현을 준비하는 중대한 성과”라며 “앞으로도 축적된 기술력과 실증 경험을 바탕으로 글로벌 친환경 에너지 시장에서 리더십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현대건설은 이번 실증 성과를 기반으로 국내외 대형 수소 플랜트, 소각로, 액화천연가스(LNG) 보일러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 CO2 포집·액화기술을 확대 적용해 탄소중립 달성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또 지난달 전북 부안에 수전해 기술을 기반으로 한 그린수소 생산 인프라를 준공하는 등 수소 밸류체인 확대를 위한 핵심역량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